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3

with 명사 분사 [형용사/부사] 'with 명사 분사(형용사나 부사도 가능)'는 주절과 동시에 일어나는 일을 나타내줘요. 한글로는 '~한 채로' 혹은 '~하면서'로 해석하고 명사와 분사의 관계가 능동인지 수동인지에 따라서 'with + 명사' 뒤에 'ing'나 'p.p'가 오는 것이 결정됩니다. with 명사 현재분사(~ing) with 뒤의 명사와 분사가 능동관계면 현재분사(~ing형태)를 사용할 수 있어요. 그래서 'with+명사+현재분사'로 나타냅니다. 무슨 말인지 예문을 보면서 살펴볼게요. ● He stood there with tears running down his face.(그는 얼굴에 눈물을 흘리면서 그곳에 서있었습니다.) 위의 예문을 보면 with 뒤에 있는 명사 'tears'와 분사 'running'의 관계가 능동이에.. 2023. 6. 15.
동명사와 현재분사 구분 및 비교 동명사와 현재분사는 형태가 같아서 헷갈리고 시험문제로도 잘 나옵니다. 오늘은 먼저 동명사와 현재분사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동명사나 현재 분사가 be동사 뒤에 위치할 때 구분하는 방법 및 명사 앞에 위치할 때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명사와 현재분사는 무엇일까? 동명사는 이름에서 알 수 있는 그대로 동사를 '~ing'의 형태로 바꿔서 명사로 쓰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어, 목적어, 그리고 보어 자리에 올 수가 있습니다. 한글로 해석할 때는 '~하는 것' 혹은 '~하기'입니다. ● Jason enjoys dancing. (Jason은 춤추는 것을 즐긴다.) 현재분사는 동사를' ~ing'의 형태로 하여서 형용사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거나 보어역할을 할 수가 있습니다.. 2023. 6. 8.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의 비교 오늘은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을 비교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접속사 that은 뒤에 완전한 절이 오고 관계대명사 that은 불완전한 절이 옵니다. 이 둘은 헷갈리기가 쉬우니 예문을 보면서 비교를 많이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접속사 that, 완전한 절 접속사 that은 명사절을 이끌어요. 그래서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문장 속에서 주어, 목적어, 그리고 보어의 역할을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관계대명사 that과 구분 지을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바로 that의 뒤에 오는 절이 완전하다는 점입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헷갈릴 수도 있어요. 아래의 예문을 통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I knew that he really loved her.(저는 그가 그녀를 정.. 2023. 6. 5.
few, a few 및 little, a little 차이점 알아보기 few와 a few 그리고 little과 a little은 수와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수량형용사'라고도 부릅니다.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줘요. 이 수량형용사 뒤에는 셀 수 있는 명사 혹은 셀 수 없는 명사가 오고 '약간 있는' 혹은 '거의 없는'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few, a few + 셀 수 있는 명사 few와 a few의 뒤에는 셀 수 있는 명사가 와요. 예를 들면 'a few people' 혹은 'few people'이 있어요. people(사람들)은 셀 수 있는 명사입니다. 그러면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우선 둘 다 공통으로 무언가의 수가 많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요. 그중에서 a few는 이를 긍정적으로 나타내줘요. 그래서 그 의미가 '약간 있는'입니다. 하지만 few는 부정적인 .. 2023. 6. 1.
분사구문 정리 - 만드는 방법, 의미, 시제, 수동, 부정 분사구문은 부사절을 분사의 형태로 만들어 부사구로 간단하게 만드는 것을 말해요. 따라서 동시동작, 연속동작, 시간, 원인, 조건 등의 의미가 있습니다. 오늘은 분사구문을 만드는 방법부터 의미, 시제, 수동, 그리고 부정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분사구문 만드는 방법 분사구문은 부사절을 분사의 형태로 만드는 것이에요. 그래서 주절과 부사절로 이루어진 문장이 있어야 분사구문을 만들 수가 있어요. 그러면 다음의 문장을 봐볼게요. ● While she reads a book, she is smiling brightly. (그녀는 책을 읽으면서 환하게 웃고 있다.) 주절(she is smiling brightly)과 부사절(While she reads a book)로 이루어진 문장이에요. 이 문장을 분사구문으로.. 2023. 5. 26.
현재분사(ing) 과거분사(ed) 및 감정을 나타내는 분사 분사는 동사를 변형시켜서 형용사의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명사를 앞뒤에서 수식해 주거나 보어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능동 및 진행의 의미가 있는 현재분사(~ing)와 수동 및 완료의 의미가 있는 과거분사(~ed)로 나뉠 수가 있어요. 분사의 개념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분사는 동사를 형용사처럼 쓰는 거예요. 형용사의 역할이 뭘까요?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 역할을 하는 것이죠? 그러면 동사가 어떻게 형용사처럼 쓰일 수 있을까요? 동사를 'ing형태'로 만들면 현재분사가 되고 'pp형태'로 만들면 과거분사가 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동사 'sleep(자다)'을 현재분사로 만들면 'sleeping(자고 있는)'이 돼요. 그리고 'a sleeping lion(자고 있는 사자)'처럼 명사를 꾸며줄 수 있.. 2023. 5. 17.
과거완료(had p.p) - 개념 및 현재완료와의 비교 안녕하세요. 오늘은 과거완료시제에 대해 안내해 드릴게요. 과거완료는 현재완료와 비슷한 점이 많아요. 과거완료의 형태는 'had p.p'의 형태이고 의미는 과거의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부터 특정 시점까지의 일을 나타내줘요. 과거완료의 개념 위에서 과거완료가 과거의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부터 특정 시점까지의 일을 나타낸다고 했어요. 근데 이게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힘들죠? 예를 들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Jason이라는 사람이 있어요. Jason은 기차를 타고 여행을 가려고 기차표를 미리 끊어 두었어요. 설레는 마음에 잠을 잘 못 자던 Jason은 여행 당일날 늦게 일어났고 눈 떠보니 기차가 출발할 시간이 다 되어가요. Jason은 놀라서 서둘러 기차역으로 갔어요. 하지만 기차는 이미 떠나버린 .. 2023. 5. 11.
현재완료진행 have[has] been ~ing - 현재완료와의 비교 안녕하세요. 오늘은 현재완료진행시제에 대해서 안내해 드릴게요. 현재완료진행시제는 그 형태는 'have [has] been ~ing'이고 과거의 일이 현재까지 진행 중인 상황이나 행동을 표현하는 시제예요. 현재완료시제와 비교하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현재완료진행의 형태 현재완료진행시제는 'have [has] been ~ing'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요. 이 시제는 형태가 복잡해 보여서 처음 학습할 때 이것을 그냥 외우려고 하면 다른 시제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현재완료진행'이라는 말을 보면 그 형태를 쉽게 알 수가 있어요. 현재완료 'have [has] p.p'와 진행 'be + ~ing'이 합쳐진 형태라고 보시면 돼요. 그래서 'have [has] been ~ing' 형태가 되는 거예요.(be.. 2023.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