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차이 알아보기

by 이쉬영 2025. 6. 2.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는 두 가지 품사의 기능을 하면서 앞에 오는 명사(선행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절을 이끌어 줍니다. 이러한 공통점으로 인해 이 둘은 구별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오늘은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관계대명사의 특징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 대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서 'The woman is a street artist and she lives next door.'(그 여성은 거리 예술가이고 그녀는 옆집에 삽니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접속사 'and'와 대명사 'she'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관계대명사를 이용해서 'The woman is a street artist who lives next door.'(그 여성은 옆집에 사는 거리 예술가입니다.)라는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a street artist'(거리 예술가)가 선행하는 명사인 선행사입니다. 'who lives next door'(옆집에 사는)은 관계대명사절입니다. 관계대명사절은 형용사 역할을 하고 선행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선행사(a street artist) + 관계대명사(who) + 불완전한 절(lives next door → 여기에서는 주어가 없음)

관계부사의 특징

관계부사는 '접속사 +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다음의 예문을 살펴보겠습니다.

'I met my boyfriend in the city and I traveled alone for the first time there.'(저는 그 도시에서 제 남자친구를 만났고 거기에서 처음으로 혼자 여행을 했어요.)

이 문장에서 접속사 'and'와 부사 'there'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관계부사를 이용하여 'I met my boyfriend in the city where I traveled alone for the first time.'(저는 처음으로 혼자 여행을 했던 그 도시에서 제 남자친구를 만났어요.)라는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the city(도시)는 선행사입니다. 'where I traveled alone for the first time.(처음으로 혼자 여행을 했던)은 관계부사절입니다. 관계대명사절처럼 관계부사절도 형용사 역할을 하여 선행사를 수식합니다.

 

문장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선행사(the city) + 관계부사(where)  + 완전한 절(I traveled alone for the first time)

정리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결정적 차이는 문장의 구조에 있습니다.

 

관계대명사가 들어간 문장

The woman is a street artist who lives next door.

선행사(a street artist) + 관계대명사(who) + 불완전한 절(lives next door)

 

관계부사가 들어간 문장

I met my boyfriend in the city where I traveled alone for the first time.

선행사(the city) + 관계부사(where) + 완전한 절(I traveled alone for the first time)

 

위의 구조를 비교해 보면 관계대명사 뒤에는 '불완전한 절'이 오고 관계부사는 '완전한 절'이 온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습니다.

 

다른 예문을 더 살펴보겠습니다.

● I often gaze at the painting which my grandmother painted many years ago.(저는 종종 제 할머니께서 여러 해 전에 그리신 그림을 응시합니다.)

선행사(the painting) + 관계대명사(which) + 불완전한 절(my grandmother painted many years ago → painted의 목적어가 없음)

● We visited a hidden waterfall that can only  be reached by a challenging hiking trail.(우리는 험난한 하이킹 코스로만 갈 수 있는 숨겨진 폭포를 방문했다.)

선행사(a hiddne waterfall) + 관계대명사(that) + 불완전한 절(can only be reached by a challenging hiking trail → 주어가 없음)

● I still remember the summer when we built a secret treehouse. (저는 우리가 비밀 나무집을 지었던 그 여름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선행사(the summer) + when(관계부사) + 완전한 절(we built a secret treehouse)

● The old lighthouse where many sailors found their way in ancient times stands on a cliff. (많은 선원들이 고대에 길을 찾았던 그 오래된 등대는 절벽 위에 서 있습니다.

선행사(the old lighthouse) + 관계부사(where) + 완전한 절(many sailors found their way in ancient time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