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3

Nice to meet you과 Nice to see you의 차이점 알아보기 '만나서 반가워'를 영어로 말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어렵지 않게 'Nice to meet you'나 'Nice to see you'를 떠올릴 수가 있습니다. 이 두 표현은 같은 표현처럼 보이지만 차이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Nice to meet you'와 'Nice to see you'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Nice to meet you의 의미원래는 It's nice to meet you.입니다. It's를 생략하고 Nice to meet you로 말해도 괜찮습니다.이 표현은 '처음 만나는 경우'에 '(처음) 만나게 돼서 반갑습니다.'라고 인사하는 표현입니다.그래서 이미 알고 있는 사람이나 친구에게 이 표현을 쓰면 어색하게 들릴 수밖에 없습니다.Good to meet you나 Happy to .. 2025. 6. 11.
so와 such에 대해 알아보기 영어에서 문장의 의미를 더 풍부하게 만들어 주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그중 so와 such는 '의미를 더 강하게 해주는 역할' 즉 강조를 할 때 사용합니다. so와 such는 각각 강조해 주는 품사가 다르고 쓰임이 다릅니다. 오늘은 so와 such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so에 대해 알아보기so는 '형용사'와 '부사'를 강조해 줍니다. 우리말로 '매우, 정말, 그렇게' 등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이렇게 so가 일반 형용사를 강조하는 경우에는 그 뒤에 명사가 올 수 없습니다.예문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Emily is so nice. (Emily는 정말 친절하다.) → 형용사 nice 강조● They are so tired. (그들은 정말 피곤하다.) → 형용사 tired 강조● Amy ran so .. 2025. 6. 10.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차이 알아보기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는 두 가지 품사의 기능을 하면서 앞에 오는 명사(선행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절을 이끌어 줍니다. 이러한 공통점으로 인해 이 둘은 구별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오늘은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관계대명사의 특징관계대명사는 '접속사 + 대명사'의 역할을 합니다.예를 들어서 'The woman is a street artist and she lives next door.'(그 여성은 거리 예술가이고 그녀는 옆집에 삽니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여기에서 접속사 'and'와 대명사 'she'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관계대명사를 이용해서 'The woman is a street artist who lives next door.'(그 여성은 옆집에 사.. 2025. 6. 2.
that절이 목적어인 문장의 수동태에 대해 알아보기 일반적인 수동태는 쉽게 만들 수 있지만 that절이 목적어로 와서 문장이 길어지는 경우는 헷갈릴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that절이 목적어인 문장을 수동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주절의 시제보다 that절의 시제가 더 이전인 경우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that절이 목적어인 문장에 대해 알아보기that절이 목적어인 문장의 예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People say that the map is wrong.' 문장이 길어 보여서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이 문장은 그냥 '주어 + 동사 + 목적어'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다만 목적어 자리에 '절'이 와서 길어진 것뿐입니다. 다음 예문을 비교해 보겠습니다.'People clean the room.' (사람들은 방을 청소한다.)위 문장은 '주어(.. 2025.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