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영어의 문장 성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어의 문장 성분은 영어 문장의 구성요소들을 말하며 각각의 역할이 있어요.(단어를 종류별로 나눈 품사와 혼동하지 말아야 해요.) 문장의 성분은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의 4가지를 말해요.
주어(subject)
주어는 '문장의 주체'가 되는 말이에요. 더 쉽게 이야기하면 문장의 주인공이 주어라고 생각하면 돼요. 주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아요.
- 우리말로 해석할 때 '~은/~는/~이/~가'가 뒤에 위치해요.
- 주어 자리에 올 수 있는 품사로는 '명사와 대명사'가 있어요.
한 가지 예를 들어볼게요. 'Marry lost her cell phone.'(Marry는 그녀의 핸드폰을 잃어버렸다.)이라는 문장이 있어요. 이 문장에서 주어는 무엇일까요? 이 문장의 주인공은 'Marry'에요. 한글로 'Marry'의 뒤에 '-는'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어요. 예문을 더 볼게요. (주어는 밑줄로 표시하였습니다.)
- Ann lives in a cozy apartment near the park. (Ann은 공원 근처에 아늑한 아파트에 산다.)
- My brother works in a famous bakery. (내 형은 유명한 빵집에서 일해요.)
- The office is decorated with plants and paintings. (그 사무실은 식물과 그림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동사(verb)
동사는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에요. 그러면 동사의 특징을 살펴볼게요.
- 우리말로 '~다'가 뒤에 위치해요.
- 동사 자리에 올 수 있는 품사로는 당연히 '동사'가 있어요.
예를 들어볼게요. 'Jane bought an expensive car.'(Jane은 비싼 자동차를 샀다.)라는 문장이 있어요. 이 문장에서 동사는 무엇일까요? 바로 'bought'(샀다)예요. 한글로 뒤에 '~다'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주어인 'Jane'의 동작을 나타내주고 있어요. 예문을 더 살펴보겠습니다. (동사는 밑줄로 표시했어요.)
- Jason loves white chocolate. (Jason은 화이트 초콜릿을 좋아한다.)
- My sister cleaned my room yesterday. (내 여동생은 어제 내 방을 청소했어요.)
- Kate writes a letter to her friend every month. (Kate는 매달 그녀의 친구에게 편지를 쓴다.)
목적어(object)
목적어는 '동사의 대상'이에요. 목적어의 특징을 봐볼게요.
- 우리말의 '~을/~를'이 뒤에 위치해요. (간접 목적어일 경우는 '~에게'가 뒤에 위치해요.)
-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대명사'가 있어요.
예를 들어볼게요. 'Susan bought a new dress for the party..'(Susan은 파티를 위해 새로운 드레스를 샀다.)이라는 문장이 있어요. 이 문장에서 목적어를 찾아볼까요? 바로 'a new dress'(새 드레스)입니다. 그녀가 산 대상이 '새 드레스'이고 한글로 뒤에 '~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예문을 좀 더 볼게요. (목적어는 밑줄로 표시했어요.)
- Steve watched a movie last night. (Steve는 어젯밤에 영화를 보았다.)
- Paul forgot his umbrella. (Paul은 그의 우산을 잃어버렸다.)
- Anna brushes her teeth twice a day. (Anna는 하루에 두 번 그녀의 이를 닦는다.)
보어(complement)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말이에요. (보충 설명을 해준다고 해서 보어예요.) 보어의 특징을 봐볼게요.
- 보어 자리에 올 수 있는 품사는 '명사, 대명사, 그리고 형용사'가 있어요.
- 우리말로 '~이다'가 뒤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표적이에요. (다른 우리말이 뒤에 위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He is a student.'(그는 학생이다.)라는 문장이 있어요. 여기에서 주어는 'He'(그)예요. 주어인 'He'를 설명하는 것이 어떤 것일까요? 바로 'a student'(학생)이 'He'를 설명해주고 있어요. 이렇게 주어를 설명하는 보어를 주격 보어라고 해요.
이번에는 다른 예문을 봐볼게요. 'My dog makes me happy.'(나의 개는 나를 행복하게 만든다.)라는 문장이 있어요. 여기서 목적어가 무엇일까요? 바로 '나의 개'가 만드는 대상인 'me'(나)가 목적어예요. 한글로 해석할 때 뒤에 '~를'이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어요. 이 목적어 'me'를 설명해 주는 것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happy'(행복하게)입니다. 목적어인 '나'가 '행복하다'라고 설명을 해주고 있죠? 이처럼 목적어를 설명하는 보어를 목적격 보어라고 해요. 예문을 더 볼게요. 보어는 밑줄로 표시하였습니다.)
- Emily looks smart. (Emily는 똑똑해 보인다. - 주격 보어)
- My daughter found the book interesting. (내 딸은 그 책이 흥미롭다는 것을 알았다. - 목적격 보어)
- Jason is a lawyer. (Jason은 변호사다. - 주격 보어)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re be동사 - There is ~, There are ~ (2) | 2022.12.13 |
---|---|
인칭대명사 - 주격, 소유격, 목적격, 소유대명사 (0) | 2022.12.11 |
be동사 - 개념, 부정문, 의문문 알아보기 (2) | 2022.12.07 |
영어 8품사 알아보기 2 - 대명사, 접속사, 감탄사, 전치사 (0) | 2022.12.03 |
영어 8품사 알아보기 -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0) | 2022.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