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칭대명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칭대명사는 '사람과 사물의 이름을 대신하는 말'입니다. 먼저 수(단수, 복수)와 인칭(1~3인칭)에 대해서 알아보고 주격, 목적격, 그리고 소유격을 하나씩 설명해 드릴게요. (오늘 설명은 하단의 표를 참고하면서 봐주세요.)
수 | 인칭 | 주격 | 소유격 | 목적격 | 소유대명사 |
단수 | 1인칭 | I | my | me | mine |
2인칭 | you | your | you | yours | |
3인칭 | he | his | him | his | |
she | her | her | hers | ||
it | its | it | 없음 | ||
복수 | 1인칭 | we | our | us | ours |
2인칭 | you | your | you | yours | |
3인칭 | they | their |
* its와 it's는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its는 소유격 '그것의'를 의미하는 것이에요. it's는 it is 혹은 it has의 축약형이에요.
수(단수, 복수)와 인칭(1~3인칭)
'단수'는 하나를 말하고 '복수'는 2개 이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1인칭'은 말하는 사람, 즉 'I'(나)를 말하는 거예요.
'2인칭'은 말을 듣는 사람, 즉 'you'(너)를 말하는 것이에요.
'3인칭'은 말하는 '나'와 말을 듣는 '너'에 해당하지 않는 다른 이를 말하는 거예요. 쉽게 설명하면 '나와 너 말고 다른 사람 혹은 사물'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주격, 목적격
'주격'은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해요. 즉 문장의 주인공 역할을 하고 한글로 뒤에 '~은/~는/~이/~가'가 붙어요.
'목적격'은 문장의 목적어 역할을 해요. 즉 동사의 대상 역할을 하고 한글로 뒤에 '~을/~를'이 붙어요.
예를 들어볼게요. '나는 그를 좋아해'라는 문장을 영어로 만들어 볼게요.
이 문장의 주어는 '나'예요. 그러면 '나는'이라는 주어를 표현하려면 위의 표에서 1인칭 단수(나 한 명) 부분을 보시면 돼요.
주격-I, 소유격-my, 목적격-me, 소유대명사-mine 중에서 어떤 것이 주어에 해당될까요? 정답은 주격인 'I'입니다.
그리고 동사 자리에는 '좋아한다'에 해당하는 단어 'like'를 쓰면 돼요.
마지막으로 '그를'은 영어로 어떻게 나타낼까요? '그'라는 말은 '나와 네가 아닌 한 명이예요.' 그래서 위의 표에서 3인칭 단수에서 남성(주격-he, 소유격-his, 목적격-him, 소유대명사-his) 부분을 보시면 돼요. 그리고 뒤에 '~를'이 있고 좋아하는 대상이니 목적어예요. 그래서 목적격인 'him'을 이용하면 돼요.
정리하면 'I like him.'(나는 그를 좋아해.)이라는 문장을 만들 수 있어요.
소유격
'소유격'은 말 그대로 무언가의 소유를 나타내는 말이에요. 쉽게 얘기하면 핸드폰이 책상 위에 있어요. 그 핸드폰이 내가 소유한 핸드폰이면 '나의 핸드폰'이라고 말하죠? 여기서 이 '나의'가 소유격이라고 보시면 돼요.
소유격은 명사 앞에 위치해서 그 명사가 누구의 소유인지를 표현해 줘요. 그리고 한글로 '~의'가 붙어요.
예를 들어볼게요. 치마는 영어로 'skirt'에요. 그 'skirt'는 그녀의 것이에요. 그래서 '그녀의 치마'라는 말을 영어로 나타내려면 '그녀'에 해당하는 3인칭 단수에서 여성 부분을 보시면 돼요. '주격-she, 소유격-her, 목적격-her, 소유대명사-hers'에서 소유격인 'her'을 이용하여 'her skirt'를 영어로 만들 수 있어요.
소유대명사
'소유대명사'는 '소유격+명사'로 바꿔 쓸 수 있는 말이에요. 한글로는 '~의 것'이라고 표현해요. 쉽게 설명드리면 '나의 가방'이라는 말은 '나의 것'이라는 말로도 바꿔서 쓸 수가 있죠? 이 '나의 것'이라는 말이 소유대명사예요.
예를 들어볼게요. '그것은 너의 것이다.'라는 문장을 영어로 만들어보려고 해요. 먼저 '그것은 ~이다'를 영어로 만들면 'It is ~.'가 돼요. 남은 자리에 '너의 것'을 영어로 표현하면 되는데 위의 표에서 '너'에 해당하는 2인칭 단수 부분을 보면 돼요. '주격-you, 소유격-your, 목적격-you, 소유대명사-yours'에서 소유대명사인 'yours'를 이용하여서 'It is yours.'라는 문장을 완성할 수 있어요.
* 소유격과 소유대명사를 많이 혼동할 수 있어요. 소유격은 '명사 앞자리'에서 '~의'로 쓰이고 소유대명사는 '소유격+명사'의 역할을 하는 '대명사'예요. 그래서 소유대명사는 명사나 대명사가 오는 자리에서 '~의 것'으로 쓰면 돼요.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동사(현재)의 변화 및 부정문, 의문문 알아보기 (0) | 2022.12.19 |
---|---|
There be동사 - There is ~, There are ~ (2) | 2022.12.13 |
be동사 - 개념, 부정문, 의문문 알아보기 (2) | 2022.12.07 |
영어 문장 성분 -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0) | 2022.12.05 |
영어 8품사 알아보기 2 - 대명사, 접속사, 감탄사, 전치사 (0) | 2022.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