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일반동사(현재)의 변화 및 부정문, 의문문 알아보기

by 이쉬영 2022. 12. 19.

일반동사는 be동사와 조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동사들을 일반 동사라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go, eat, walk'등의 동사들을 예로 들 수가 있어요. 오늘은 일반동사 현재형의 주어에 따른 변화, 부정문, 그리고 의문문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동사의 주어에 따른 변화

일반동사 현재의 변화는 한 가지 경우만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경우는 바로 '3인칭 단수'가 주어로 오는지 오지 않는지를 살펴보면 됩니다. 

그럼 3인칭 단수는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하면 '나와 너를 제외한 다른 하나'를 말하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대표적으로 'he, she, it'가 있습니다.

이러한 3인칭 단수가 주어로 오는 경우에는 동사뒤에 규칙에 따라서 '-s'나 '-es'가 붙으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그 고양이는 그녀를 좋아해.'라는 문장을 영어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주어 자리에 'The cat'(그 고양이)가 옵니다. 그리고 주어인 'The cat'은 '나도 아니고 너도 아닌 하나'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3인칭 단수 주어입니다. 그러면 동사에 '-s'가 붙어서 'likes'가 와야 합니다. 뒤에 목적어인 'her'이 오면 'The cat likes her'이 완성됩니다.

 

나머지 경우(1인칭, 2인칭 및 복수가 주어로 오는 경우)는 동사를 그대로 쓰면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동사가 변화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는 것을 '동사원형'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서 '너는 그 고양이를 좋아해.'라는 문장을 영어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주어는 '너'니까 'You'가 오면 됩니다. 그리고 'You'는 2인칭 주어입니다. 그러면 'like'(좋아하다)가 변화하지 않고 주어 뒤에 오면 됩니다. 그리고 '그 고양이'는 'the cat'입니다. 

정리하면 'You like the cat.'이라는 문장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다른 예문을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 I read a book every evening. (나는 매일 저녁 책을 읽는다.)

주어가 '나', 즉 1인칭입니다. 그래서 동사에 '-s'가 붙지 않습니다.

● She reads a book every evening. (그녀는 매일 저녁 책을 읽는다.)

주어가 '나도 아니고 너도 아닌 한 명'입니다. 그래서 3인칭 단수이며 '-s'가 붙습니다.

● We visit the park on weekends. (우리는 주말마다 공원을 방문해요.)

주어가 '우리'인데 나도 아니고 너도 아닌데 한 명은 아닙니다. 우리는 여러 명이네요. 그래서 동사에 '-s'가 붙지 않습니다.

● He visits the park on weekends.(그는 주말마다 공원을 방문해요.)

주어인 '그'는 '나도 너도 아닌 하나'에 해당합니다. 3인칭 단수이며 '-s'가 붙습니다.

● You cook dinner for your family. (너는 네 가족을 위해 저녁을 요리해.)

주어가 '너', 즉 2인칭입니다. 그래서 동사에 '-s'가 붙지 않습니다.

● Emily cooks dinner for her family. (Emily는 그녀의 가족을 위해 저녁을 요리해.)

Emily는 '나도 너도 아닌 한 명'입니다. 그래서 3인칭 단수이며 '-s'가 붙습니다.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e)s' 붙이기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주어가 '3인칭 단수 형재형'일 때 '-s'나 '-es'가 붙는다고 하였는데 여기에도 규칙이 있습니다. 

 

1. 대부분의 동사들

대부분의 동사의 경우에는 뒤에 그냥 '-s'가 붙습니다.

예를 들어서 'read'라는 동사가 있습니다. 주어는 'He'로 3인칭 단수입니다. 그러면 'He reads ~'로 쓰면 됩니다.

 

2. '-ch, -sh, -o, -s, -x'로 끝나는 동사들

이러한 경우에는 뒤에 '-es'가 붙습니다.

예를 들어서 3인칭 단수 주어인 She가 있고 동사 'teach'가 뒤에 옵니다. 이 동사는 뒤가 '-ch'로 끝나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She teaches ~'로 쓰면 됩니다.

 

3. '자음+-y'로 끝나는 동사

이러한 경우는 'y'를 'i'로 바꾸고 뒤에 '-es'가 붙습니다.

예를 들어서 3인칭 단수 주어인 Emily뒤에 'study'라는 동사가 있습니다. 이 동사의 뒤 2글자를 살펴보면 '-dy'로 끝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d'는 자음입니다. 이러한 경우 'Emily studies ~'로 쓰면 됩니다.

 

*'모음+-y'로 끝나는 경우는 1번에 있는 '대부분의 동사'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그냥 뒤에 '-s'가 붙습니다.

예를 들어서 3인칭 단수 주어 'The girl' 뒤에 동사 'play'가 있을 때 'The girl plays ~'로 쓰면 됩니다.

 

4. 불규칙

동사 'have'의 경우는 그냥 'has'로 변해요. 불규칙의 경우는 그냥 암기하셔야 합니다.

일반동사의 부정문

일반동사의 부정문에서도 주어가' 3인칭 단수가 아닌 경우'와 '3인칭 단수인 경우'로 나눠서 살펴보면 됩니다.

 

1. 주어가 3인칭 단수가 아닌 경우(1인칭, 2인칭, 복수)

이 경우에는 동사원형 앞에 'do not'이나 축약형인 'don't'가 오면 됩니다. 따라서 '주어 + do not + 동사원형 ~.'의 어순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I like fish.'라는 문장을 부정문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여기에서 주어는 'I'로 3인칭 단수가 아닙니다. 그러면 동사원형인 'like'앞에 'don't'를 넣어서 'I don't like fish.'라는 부정문을 만들어 주면 됩니다.

 

2.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이 경우에는 동사(e)s를 동사원형으로 바꿔주고 그 앞에 'does not'이나 축약형인 'doesn't'가 오면 됩니다. 그래서 '주어 + does not + 동사원형 ~'의 어순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He likes fish.'라는 문장을 부정문으로 바꿔보겠습니다.

주어로 3인칭 단수인 'He'가 온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동사인 'likes'를 동사원형 'like'로 바꿔주고 그 앞에 'doesn't를 넣어서 'He doesn't like fish.'라고 만들어 주면 됩니다.

*여기에서 'do'대신 'does'를 쓰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부정문을 만들 때에 'do + not'이 쓰이는데 여기에서 동사 'do'가 '-o'로 끝나기 때문에 3인칭 단수가 주어로 올 경우 '-es'가 뒤에 붙어서 'does'가 되는 것입니다.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e)s' 붙이기'에서 2번을 참고해 주세요.)

 

다른 예문을 더 살펴보겠습니다.

● I do not like spicy food. (나는 매운 음식을 좋아하지 않는다.)

주어가 'I'로 1인칭입니다. 그래서 'do not like'로 부정문을 만들었습니다.

● She does not like spicy food. (그녀는 매운 음식을 좋아하지 않는다.)

주어가 'She'로 '나도 너도 아닌 한 명'입니다. 3인칭 단수여서 doen not like'로 부정문을 만들었습니다.

● We don't travel during the holidays. (우리는 휴일 동안 여행을 하지 않아요.)

주어가 'we'로 단수가 아닌 복수입니다. 그래서 don't travel로 부정문을 만들었습니다.

● Gary doesn't travel during the holidays.  (Gary는 휴일 동안 여행을 하지 않아요.)

주어가 Gary로 '나도 너도 아닌 한 명'입니다. 3인칭 단수이므로 doesn't travel로 부정문을 만들었습니다.

일반동사의 의문문

일반동사의 의문문도 주어가 '3인칭 단수가 아닌 경우'와 '3인칭 단수인 경우'로 나눠서 보면 됩니다.

 

1. 주어가 3인칭 단수가 아닌 경우(1인칭, 2인칭, 복수)

주어 앞에 'Do'가 오고 문장 뒤에 물음표를 붙이면 됩니다. 그래서 어순은 'Do + 주어 + 동사원형 ~?'입니다.

예를 들어서 'You like fish.'라는 문장을 의문문으로 바꿔보겠습니다.

주어인 'You'가 2인칭이고 3인칭 단수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Do you like fish?'라는 의문문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답변은 긍정일 경우 'Yes, 주어 + do.'이고 부정일 경우 'No, 주어 + don't로 하면 됩니다.

 

예문을 살펴보겠습니다.

● A: Do you like to dance? (너 춤추는 거 좋아해?) / B: Yes, I do. (응, 그래)

주어가 'You'로 2인칭입니다. 그래서 'Do you like ~?'의 형태로 의문문을 만든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 A: Do they play basketball on weekends? (그들이 주말마다 농구를 하니?) / B: No, they don't. (아니, 안 그래.)

주어가 복수입니다. 그래서 'Do they play ~?'로 의문문을 만들었습니다.

 

2.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

주어 앞에 'Does'가 오고 '동사+(e)s'를 동사원형으로 바꿔줍니다. 마지막으로 문장 뒤에 물음표를 붙이면 됩니다. 그래서 어순은 'Does + 주어 + 동사원형 ~?'입니다.

예를 들어서 'He likes fish.'라는 문장을 의문문으로 바꿔보겠습니다.

주어가 'He'인데 '나도 너도 아닌 하나'입니다. 3인칭 단수인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Does he like fish?'라는 의문문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답변은 긍정일 경우 'Yes, 주어 + does.'이고 부정일 경우 'No, 주어 doesn't.'로 하면 됩니다.

● A: Does he read books every night? (그는 매일 밤에 책을 읽나요?) / B: No, he doesn't. (아니요, 그렇지 않아요.)

주어가 'he'로 '나도 너도 아닌 한 명에 해당해서 3인칭 단수입니다. 'Does he read ~?'의 형태로 의문문을 만들었습니다.

● A: Does Amy sing beautifully? (Amy는 아름답게 노래하나요?) / B: Yes, she does. (네, 그래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