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 중에서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형용사는 한정적 용법과 서술적 용법, 2가지로 분류를 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형용사의 한정적 용법과 서술적 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형용사의 한정적 용법
한정적 용법은 형용사가 명사의 앞이나 뒤에서 꾸며줍니다.
예를 들어서 'The noisy children were playing in the park.'(시끄러운 아이들이 공원에서 놀고 있었습니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형용사 'noisy'(시끄러운)가 명사 'children'(아이들)을 꾸며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한정적 용법은 명사의 앞에 위치하여 꾸며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번에는 'Something important came up.'(중요한 일이 생겼어요.)라는 예문을 볼게요.
위 예문에서는 명사 'Something'(어떤 것)을 형용사인 'important'(중요한)가 뒤에서 꾸며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형용사가 명사를 뒤에서 꾸며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른 예문들을 더 살펴보겠습니다.
● A beautiful sunset painted the sky with vibrant colors. (아름다운 일몰이 하늘을 화려한 색으로 물들였어요.)
→ 형용사 'beautiful'이 명사' sunset'을 꾸며줍니다.
● Rachel were a luxurious dress to the gala. (Rachel은 갈라쇼에 화려한 드레스를 입고 갔습니다.)
→ 형용사 'luxurious'가 명사 'dress'를 꾸며줍니다.
● The book left on the bus was mine. (버스에 놓고 간 그 책은 내 것이었습니다.)
→ 형용사구 'left on the bus'가 명사 'book'을 뒤에서 꾸며줍니다.
형용사의 서술적 용법
형용사가 보어역할을 합니다. 보어는 주어와 목적어를 보충설명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주어를 보충설명하면 주격보어라고 부르고 목적어를 보충설명하면 목적격보어라고 부릅니다.
먼저 주어를 보충 설명하는 '주격보어' 역할을 하는 예문을 봐볼게요.
'Sarah was upset last Saturday.' (Sarah는 지난 토요일에 화가 났었다.)
여기에서 형용사 'upset'(화난)은 주어 'Sarah'를 보충 설명하고 있습니다.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하는 예문도 살펴보겠습니다.
'She made her brother happy with a surprise gift.' (그녀는 깜짝 선물로 남동생을 행복하게 만들었어요.)
위 예문에서는 형용사 'happy'(행복한)가 목적어인 'her brother'(그녀의 남동생)을 보충 설명하고 있습니다.
● The tomato soup tastes delicious. (그 토마토 수프는 맛있어요.)
→ 형용사 'delicious'가 주어인 'The tomato soup'를 보충 설명합니다.
● Jack felt exhausted after the long hike up the mountain. (Jack은 산을 오랜 시간 등산한 후에 기진맥진했어요.)
→ 형용사 'exhausted'가 주어인 'Jack'을 보충 설명합니다.
● We consider the project complete after the final review. (우리는 최종 검토 후에 그 프로젝트를 완료된 것으로 여긴다.)
→ 형용사 'complete'가 목적어인 'the project'를 보충설명 합니다.
* alike, afraid, alight, alive, alone, awere, ashamed, asleep, awake 등의 'a-'로 시작하는 일부 형용사들은 서술적 용법으로만 쓰인다는 것에 주의해 주세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The asleep cat (X) → asleep이 명사를 앞에서 꾸며줄 수 없습니다.
● The cat is asleep. (O) → 알맞은 문장입니다.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장소) on, in, at 알아보기 (1) | 2024.12.31 |
---|---|
'need to 부정사'와 'need ~ing'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12.30 |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만드는 방법 (0) | 2024.12.23 |
4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만드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4.12.19 |
영어에서 능동과 수동의 개념을 구분하는 방법 (0) | 2024.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