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so that ~ / so ~ that ~ 정리해보기

by 이쉬영 2023. 12. 13.

오늘은 'so that ~'과 'so ~ that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o that ~'처럼 붙어 있는 경우와 'so 형용사/부사 that S V ~'처럼 떨어져 있는 경우가 있는데 서로 형태가 비슷해서 혼동될 수가 있습니다. 하나씩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so that ~

1.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서 'so that + S + V ~'가 사용됩니다. 해석은 '~하기 위해서' 혹은 '~하도록'으로 해주시면 돼요. 이때 that은 생략이 가능하고 that절에 조동사(can, will, may 등)가 쓰이는 경우가 많아요. 예문과 함께 봐볼게요.

● Jenny saved money so that she could afford a trip to Euripe.(Jenny는 유럽 여행을 감당할 수 있도록 돈을 저축했다.)

위 예문에서 so that 뒤에 오는 부분(유럽 여행을 감당할 수 있도록)이 Jenny가 돈을 저축한 목적이 됩니다.

그리고 위의 예문에서 볼 수 있듯이 주절의 동사 'saved'와 that절의 동사 'could'의 시제를 과거로 일치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예문을 더 봐볼게요.

● Jason left early so that he would not miss the train.(Jason은 기차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 일찍 출발했다.)

● We planted trees so that we could help the environment.(우리는 환경을 돕기 위해서 나무를 심었어요.)

 

2. '결과'의 의미를 나타낼 때도 'so that + S + V ~'가 사용돼요. 해석은 '그래서' 혹은 '그렇게 해서'와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이때 역시도 that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 Sam got up late, so that he missed the early bus.(Sam은 늦게 일어나서 일찍 오는 버스를 놓쳤습니다.)

위 예문처럼 '결과'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 so that ~'처럼 콤마(,)를 이용하여 더 알기 쉽게 표시하기도 해요. 예문을 더 봐볼게요.

● It rained heavily, so that the streets were flooded.(비가 많이 와서, 거리가 물에 잠겼어요.)

● The wind was strong, so that the trees were swaying violently.(바람이 세게 불어서, 나무들이 격렬하게 흔들렸습니다.)

so 형/부 that ~

'so + 형용사 혹은 부사 that S V ~'의 형태는 '너무 ~해서 ~하다'로 해석이 됩니다. 그래서 that 뒤에 '결과'의 내용이 와요. 여기서 that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예문을 통해서 살펴볼게요.

● Lucy was so hungry that she ate the whole pizza by herself.(Lucy는 너무 배가 고파서 혼자서  피자 전체를 다 먹었어요.)

위 예문에서 so 뒤에 형용사 'hungry'가 왔고 that 뒤에 '결과'의 내용이 온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습니다. 예문을 좀 더 살펴볼게요.

● Sarah speaks so softly that we can barely hear her.(Sarah는 너무 조용히 말해서 우리는 그녀의 말을 거의 들을 수가 없다.)

● The test was so difficult that many students couldn't finish it on time.(그 시험은 너무 어려워서 많은 학생들이 시간 내에 끝내지 못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