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enough to / so ~ that S can

by 이쉬영 2023. 12. 4.

오늘은 'enough to ~'와 'so ~ that S can ~'에 대해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형/부 enough to ~'를 살펴보고 'so 형/부 that S can ~'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 구문들이 서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형/부 enough to 동사원형

1. enough는 '형용사'로 쓰일 때는 명사를 앞에서 수식해요.

예를 들어서 'Jane doesn't have enough time to finish her science homework.'(Jane은 과학숙제를 끝내기에 충분한 시간이 없다.)라는 예문이 있어요. 여기에서 enough(형용사)는 time(명사)을 앞에서 수식해주고 있어요.

enough가 '부사'로 쓰일 때는 '동사, 형용사, 부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그래서 지금 안내해 드리는 '형/부 enough to ~'에서 형용사나 부사의 뒤에 enough가 위치하는 것입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James is kind enough to share his toys with his friends.(James는 친구들과 장난감을 나누어 줄 수 있을 만큼 친절해요.)

위 예문에서는 enough(부사)가 kind(형용사)를 뒤에서 수식해주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2. '~ enough to ~'의 의미는 '~하기에 충분히 ~한 [~하게]'예요. 

 

3. 문장의 주어 = 'to 부정사의 주체' 일 때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로 표시하지 않아요.

예를 들어 'They are brave enough to explore the haunted house.'(그들은 유령의 집을 탐험할 수 있을 만큼 용감합니다.)라는 문장이 있어요.

이 예문에서 문장의 주어 'They'와 'to explore'의 주체가 같아요.(탐험하는 주체가 They입니다.) 

이러한 경우 'for them to explore'로 표시하지 않아요.

 

4. 문장의 주어 = 'to 부정사의 목적어' 일 때 to 부정사의 목적어는 생략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The cake was light enough for her to carry it.'(그 케이크가 들기에 충분히 가벼웠다.)라는 문장이 있어요. 이 문장은 올바른 문장이 아닙니다.

여기에서 문장의 주어 'The cake'는 to carry의 목적어로 오는 'it'과 같습니다.

이러한 경우 이 문장에서 'it'을 생략해서 'The cake was light enough for her to carry.'로 나타내야 합니다.

so 형/부 that S can 동사원형

1. 'so + 형용사나 부사 + that + 절'의 형태로 나타내요.

2. 의미는 '너무 ~해서 ~할 수 있다'예요.

예를 들어볼게요.

'The cake was so light that she could carry it.'(그 케이크는 매우 가벼워서 우리가 들 수 있었다.) 

위에서 봤던 예문을 전환한 문장이에요.(The cake was light enough for her to carry.)

 

'~enough to ~'와의 차이점을 살펴볼게요.

○ 'enough to ~'에서 to 부정사가 있기 때문에 'to carry'의 주체를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for her'로 나타냈어요.

● 'so ~ that ~'에서는 that 뒤에 '절'이 와야 하기 때문에 'could carry'의 주체로 주어 'she'가 옵니다.

○ 'enough to ~'에서 문장의 주어 'The cake'와 'carry'의 목적어인 'it'이 같은 대상이어서 'it'을 생략해야 합니다.

● 'so ~ that ~'에서는 that 뒤에 완전한 '절'이 와서 carry의 목적어 'it'을 표시해줘야 합니다.

'enough to ~'와 'so ~that ~'의 전환

'The heater is powerful enough to warm the entire room quickly.'(그 히터는 방 전체를 빠르게 따뜻하게 하기에 충분히 강력하다.)를 'so ~ that'을 이용하여 전환해 볼게요.

먼저 'powerful enough'를 'so powerful'로 바꿔주고 'to'를 'that'으로 바꿔줘요.

'The heater is so powerful that warm the entire room quickly.'가 되었어요.

다음에 that 뒤에서 주어가 있어야 하니 주어 'it'을 넣어줍니다.(의미상의 주어가 따로 없고 동사 warm(따뜻하게 하다)의 주체가 '히터'니깐 'The heater'의 대명사 'it'이 오는 것입니다.) 

전체 문장의 시제가 현재이면 that 절에 'can', 과거이면 'could'를 넣어줘요. 이 문장에서 전체 문장의 시제가 'is'로 현재시제이니 'can'이 오면 됩니다.

그래서 'The heater is so powerful that it can warm the entire room quickly.'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예문 하나 더 봐볼게요.

'The dress was cheap enough for him to buy.'(그 드레스는 그가 사기에 충분히 저렴했다.)

먼저 'cheap enough'를 'so cheap'으로 바꿔주고 'to'를 'that'으로 바꿔줍니다.

여기에서는 to buy의 의미상의 주어인 'for him'이 있으니 that절의 주어인 'he'로 바꿔줍니다.

시제는 과거 시제이니 can이 아닌 could를 써볼게요.,

그래서 'The dress was so cheap that he could buy.'라는 문장을 완성했어요. 근데 이 문장은 올바른 문장이 아닙니다.

 그 이유는 that절의 뒤에 완전한 문장이 와야 하는데 여기에서는 buy의 목적어가 없죠? 

그래서 'The dress was so cheap that he could buy it'으로 해줘야 올바른 문장입니다.

 

몇 가지 예문을 들 더 살펴보겠습니다.

● The rope is strong enough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climber.(그 로프는 등반가의 무게를 지탱하기에 충분히 강하다.)

= The rope is so strong that it can support the weight of the climber.

● The fabric is soft enough to be used for a baby's blanket.(그 천은 아기 담요로 사용되기에 충분히 부드럽다.)

= The fabric is so soft that it can be used for a baby's blanket.

● The computer was fast enough to handle complex video editing tasks.(그 컴퓨터는 복잡한 비디오 편집 작업을 처리하기에 충분히 빨랐다.)

= The computer was so fast that it could handle complex video editing task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