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too ~ to ~'와 so ~ that S can't ~'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too 형/부 to ~'부터 알아보고 'so 형/부 that S can't ~'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이 구문들은 서로 전환이 가능한데 그 방법에 대해서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too 형/부 to 동사원형
1. 'too' 뒤에는 '형용사 혹은 부사'가 오고 to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옵니다. too 뒤에 형용사와 부사 중 어느 것이 오는지 알아보고 싶으시면 too를 빼고 보면 구분할 수가 있어요.
예를 들어서 'Amy is too smart to cheat.'에서 'too'를 빼고 보면 'Amy is smart.'로(to 부정사 앞부분까지면 보면 돼요.) be동사 뒤에 형용사가 온 자연스러운 문장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어요.
'He talks too loudly to hear.'에서 'too'를 빼고 보면 'He talks loudly'로 자동사 뒤에 부사가 온 자연스러운 구조인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2. 'too ~ to ~'의 의미는 '너무 ~해서 ~할 수 없다.'입니다. 부정어구가 없는데 이렇게 해석되는 게 어색할 수도 있는데요. 예문을 봐볼게요.
'Emily was too tired to study.'(Emily는 너무 피곤해서 공부할 수가 없었다.)
위 예문을 그냥 직역하면 'Emily는 공부하기에 너무 피곤했다.'로 돼요. 근데 그 말은 '너무 피곤해서 공부할 수가 없었다.'로 바꿔 말할 수 있어요.
그래서 'too ~ to ~'의 의미는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로 말할 수 있습니다.
3. 문장의 '주어'가 'to 부정사'의 주체와 같으면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로 표시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Amy was too excited to sleep'(Amy는 너무 흥분해서 잠들 수가 없었어요.)
위의 문장에서는 문장의 주어인 'Amy'가 'to sleep'의 주체와 같죠?
(쉽게 이야기하면 문장의 주어인 'Amy'와 '잠드는 사람'이 같은 사람이라는 말입니다.)
이때에는 의미상의 주어로 표시하지 않아요.
그리고 문장의 '주어'가 'to 부정사의 주체'와 다르면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로 표시합니다.
'The cake was too delicious for him to resist.(그 케이크는 너무 맛있어서 그는 참을 수가 없었다.)
이 문장에서는 문장의 주어인 'The cake'와 to 부정사의 주체인 'him'이 달라서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for him'으로 나타내 주었습니다.
4. 문장의 '주어'와 'to 부정사의 목적어'가 같으면'to 부정사의 목적어는 생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These books were too heavy for us to carry them.'을 볼게요. 이 문장은 올바른 문장이 아닙니다. 왜 그럴까요?
이 문장의 주어는 'These books'입니다. 'to 부정사의 목적어'는 'them'이에요. 여기에서 'These books = them'입니다.
즉 문장의 주어와 to 부정사의 목적어가 같아요. 그러면 이 문장에서 'them'을 생략해야 합니다.
그래서 'These books were too heavy for us to carry.'가 올바른 문장입니다.
so 형/부 that S + can't ~
1. 'so' 뒤에 '형용사나 부사'가 오고 that 뒤에는 '절'이 와요.
2. 의미는 '너무 ~해서 ~할 수 없다.'입니다.
예를 들어서 살펴볼게요.
'These books were so heavy that we couldn't carry them.'(이 책들은 너무 무거워서 우리는 들 수 없었다.)
위의 'too ~ to'에서 봤던 예문입니다. (There books were too heavy for us to carry.)
여기에서 'too ~ to'와의 차이점을 볼까요?
○ 'too ~ to'에서 'to carry'는 to 부정사이기 때문에 'carry'의 주체는 의미상의 주어 'for us'입니다.
○ 문장의 주어 'These books'이 to 부정사의 carry의 목적어 'them'과 같은 대상이면 생략합니다. 그래서 carry뒤에 them을 쓰면 안 돼요.
○ 'so ~ that'에서 that 뒤에는 '절'이 오기 때문에 'couldn't carry'의 주체는 주어 'we'입니다.
○ that 뒤에는 '절'이 오기 때문에 주어와 동사가 들어간 완전한 문장으로 끝나야 해요. 그래서 carry의 목적어 'them'을 써야 합니다.
'too ~ to'와 'so ~ that ~'의 전환
'She was too shy to talk to him.'(그녀는 너무 수줍어서 그와 말할 수 없었다.)를 'so ~ that'을 이용하여 전환해 보겠습니다.
먼저 'too'를 'so'로 바꾸고 'to'를 'that'으로 바꿔주세요. 'She was so shy that talk to him'이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that 뒤에는 주어가 있어야 하니 주어 'she'를 넣어주세요.(의미상의 주어가 없고 그와 말할 수 없었던 사람이 '그녀'니깐 'she'가 옵니다.) 그리고 'that절'의 주어 뒤에 전체 문장의 시제가 '현재'면 can't가 오고 '과거'면 couldn't가 옵니다. 이 문장에서는 'was'가 과거이니 that절에 couldn't가 와야 합니다.
그래서 'She was so shy that she couldn't talk to him.'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한 문장 더 봐볼게요.
The dress is too expensive for her to buy.(드레스가 너무 비싸서 그녀는 살 수 없다.)
우선 'too'를 'so'로 바꾸고 'to'를 'that'으로 바꿀게요.
이때 to buy의 의미상의 주어 'for her'를 that절의 주어 'she'로 써주세요.
시제는 현제이니 couldn't가 아닌 can't가 와야 합니다.
그러면 'The dress is so expensive that she can't buy.'이라는 문장을 완성할 수가 있어요. 하지만 이 문장은 틀린 문장입니다. 그 이유는 'that' 뒤에는 주어와 동사가 들어간 완전한 문장이 와야 합니다. 위 문장에서는 'buy'의 대상이 없죠? '무엇'을 살 수 없는 지를 써줘야 합니다. 그래서 buy뒤에 목적어가 와야 하고 '그녀가 살 수 없었던 대상은 '드레스'입니다. buy 뒤에 명사 'dress'를 대신할 수 있는 대명사 'it'이 오면 됩니다.
그래서 'The dress is so expensive that she can't buy it.'으로 쓰면 올바른 문장이 됩니다.
몇 가지 예문들 더 봐볼게요.
● The water was too cold for him to swim.(물이 너무 차가워서 그는 수영할 수 없었다.)
= The water was so cold that he cound't waim.
● The movie is too boring to watch.(그 영화는 너무 지루해서 볼 수가 없다.)
= The movie is so boring that I can't watch it.
● The puzzle was too hard for them to solve.(그 퍼즐은 너무 어려워서 그들은 풀 수가 없었어요.)
= The puzzle was so hard that they couldn't solve it.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 형용사 알아보기 (3) | 2023.12.07 |
---|---|
enough to / so ~ that S can (0) | 2023.12.04 |
영어 목적어와 보어 구분하기 (0) | 2023.11.17 |
영어 문장 1~5 형식 정리하기 (0) | 2023.11.10 |
영어의 주어와 동사 (2) | 2023.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