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수동태 - 개념, 부정문과 의문문

by 이쉬영 2023. 3. 5.

오늘은 수동태에 대해서 안내해 드릴게요. 우선 수동태가 무엇인지 이해하려면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무엇인지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좋아요. 그리고 수동태의 개념과 형태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고 마지막으로 수동태의 부정문 및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을 함께 봐볼게요.

현재분사, 과거분사

수동태에 대해 설명드리기 위해서는 먼저 분사에 대해 이해하면 좋아요. 분사는  동사를 변형시켜서 형용사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로 나뉠 수가 있어요.

그리고 분사를 설명하기에 앞서 '능동'과 '수동'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능동'이라는 말은 말 그대로 주어가 능동적으로 어떠한 행위를 가하는 것을 말하며 '수동'은 주어가 수동적으로 어떠한 행위를 당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돼요.

현재분사는 동사를 '~ing'형태로 변형시켜서 어떠한 행위를 가하는 능동의 의미와 진행 중인 것을 표현하는 형용사 역할을 하는 것이에요. 한글로는 '~하고 있는, ~하는'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예를 들어서 'sleep'(자다)는 동사예요. 여기에 '~ing'를 붙여서 'sleeping'이 되면 '자고 있는'이라는 진행의 의미를 지닌 형용사의 역할을 해요.

과거분사는 동사를 '-ed'형태로 변형시켜서(불규칙도 있어요.) 어떠한 행위를 당하는 수동의 의미와 완료된 것을 표현하는 형용사 역할을 하는 것이에요. 한글로는 '~한, ~된, ~당하는'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예를 들어서 'invite'(초대하다)는 동사인데 '-ed'형태로 변형시켜서 'invited'가 되면 '초대된'이라는 수동의 의미를 지닌 형용사의 역할을 해요.

수동태의 개념, 형태

수동태는 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어떠한 행위를 당하는 것, 어느 행위의 영향을 받는 것'을 표현한 것이에요. 그러면 왜 수동태를 사용하는 걸까요? 이것은 어떠한 동작의 행위를 당하는 대상을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이를 표현하려면 과거분사(과거분사는 영어로 'past participle'인데 줄여서 pp로도 표시해요.)를 이용하면 돼요. 그래서 주어+be동사+pp ~'의 형태가 되는데 이를 공식처럼 외우지 말고 이해하면 더 쉬워요.

예를 들어서  'I clean my room.'(나는 나의 방을 청소한다.)라는 문장이 있어요. 이 문장은 주어인 '내가' 목적어인 '나의 방'에게 청소하는 행위를 가하는 능동태 문장이에요. 이 문장에서 목적어인 '나의 방'입장에서 생각하면 청소하는 행위를 '당하는 것'이에요. 이 문장을 수동태로 바꿔볼게요. 한글로는 '나의 방은 나에 의해 청소된다.'예요. 영어로 만들어 볼게요. 주어로 아까 목적어에 있던 'my room'(나의 방)이 와야 해요. 그리고 '청소된다'를 표현하려면 동사 'clean'을 과거분사인 'cleaned'(청소된)로 만들면 돼요. My room(나의 방)과 cleaned(청소된)가 있는데 과거분사는 동사가 아닌 형용사 역할을 해요. 그래서 동사가 없이 '주어 + 형용사'로만 이루어진 형태이고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아니에요. 이렇게 주어와 형용사만 있을 때에 가운데에 'be동사'를 넣으면 자연스러운 문장이 완성되죠? ('She cute'는 문장이 아니지만 'She is cute.'는 문장이에요.) 그래서 'My room is cleaned'(나의 방은 청소된다.)라는 수동의 의미를 지닌 문장을 완성할 수가 있어요. 그리고 '나에 의해'는 이 문장 뒤에 'by+행위자'로 표시하면 돼요. 'My room is cleaned by me.'로 전체 문장을 완성할 수가 있어요. 결론은 수동태는 행위를 당하는 대상이 주어가 되고 과거분사는 수동, 완료의 의미를 지닌 형용사의 역할을 해요. 그리고 주어와 형용사만으로는 문장이 되지 않으니 가운데에 'be동사'가 온 것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주어+be동사+pp'형태를 지니게 되는 거예요.

능동태-수동태-비교
능동태-수동태-비교

  • We were praised by our teacher.(우리는 선생님에게 칭찬을 받았다.)
  • She was invited by her friend.(그녀는 그녀의 친구에게 초대를 받았다.)
  • That house was built in 1980.(저 집은 1980년에 지어졌다.)

수동태의 부정문 및 의문문

수동태에서 동사는 'be동사'가 사용되니깐 부정문과 의문문도 'be동사'와 같아요. 부정문은 be동사 뒤에 'not'을 붙여주면 되고 의문문은 be동사가 주어 앞으로 오고 마침표를 물음표로 바꿔주세요.

  • All the trouble was caused by his sister.(모든 문제가 그녀의 여동생으로부터 야기되었다.)
  • Were the people injured in the accident?(그 사람들이 사고로 안 다쳤나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