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먼저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개념만 이해해서는 제대로 안다고 할 수가 없어요. 예문을 통해서 접속사 that이 어떻게 쓰이는 지도 살펴볼게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의 개념
먼저 '명사절'이라는 말의 의미가 무엇일까요? '명사'는 문장에서 주어와 목적어 그리고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절'은 주어와 동사가 포함된 둘 이상의 단어가 문장의 일부를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이 둘을 합쳐서 정리하면 '명사절'이라는 말이 주어와 동사가 포함된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어요. 그러면 지금부터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볼게요.
'나는 그녀를 안다.'라는 한글 문장이 있어요. 이 문장의 목적어인 '그녀를'의 자리에 '그녀는 거짓말쟁이이다.'라는 말을 넣으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하다'로 끝나는 문장을 '~하는 것'으로 바꿔서 '나는 그녀가 거짓말쟁이라는 것을 안다.'라고 만들면 돼요.
오늘 살펴보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은 용어가 굉장히 어려워 보일 수가 있지만 위에서 우리말로 소개한 내용을 영어로 만드는 것이에요. 한글로 무엇을 배우는 것인지 먼저 알면 그리 어렵지 않은 내용을 배우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어요.
위의 한글 문장을 영어로 만들어 볼게요. 우선 '나는 그녀를 안다'는 'I know her.'이에요. 'I'(나는)가 주어, 'know'(알다)가 동사, 'her'(그녀를)이 목적어예요. 이 문장에서 목적어인 'her'의 자리에 'She is a liar.'(그녀는 거짓말쟁이이다.)라는 문장을 넣어 볼게요. 동사인 know 뒤에 'that'을 넣고 'she is a liar.'를 오게 하면 돼요. 완성된 문장은 'I know that she is a liar.'이에요.
접속사는 연결을 해주는 역할을 하는 품사예요. 여기에서 접속사 that은 동사인 'know' 뒤에서 명사절 'she is a liar'를 연결하고 있어요. 그리고 'that she is a liar'는 이 전체 문장에서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죠. 그리고 이처럼 접속사 'that'이 동사 뒤에서 목적어를 이끌 때 생략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I know she is a liar.'처럼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의 예문
1. 주어('가주어 It, 진주어 that ~'으로 표현할 수 있어요.)
- That he is honest is true.(그가 정직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 It is true that he is honest.
- That he is good with driving is not surprising.(그가 운전을 잘하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 It is not surprising that he is good with driving.
2. 보어
- The most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dancing.(가장 흥미로운 점은 그들이 춤으로 서로와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입니다.)
-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we get there by afternoon.(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오후까지 거기 도착하는 일이야.)
3. 목적어 (that을 생략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 He thought (that) crying was a sign of weakness.(그는 우는 것은 나약함의 표시라고 생각했다.)
- She said (that) the story was true.(그녀는 그 이야기가 사실이라고 말했다.)
4. 동격
- The fact that he is honest is known to everybody.(그가 정직하다는 사실은 누구에게나 알려져 있다.)
- The idea that his proposal is the only logical one is hard to swallow.(그의 제안만이 논리적이라는 생각은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명사 - 개념, 주격 및 목적격 관계대명사 (0) | 2023.03.23 |
---|---|
간접의문문 - 개념, 어순(의문사, 주어, 동사) 등 정리 (0) | 2023.03.20 |
구와 절 -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 및 등위절, 종속절 (0) | 2023.03.10 |
수동태 - 개념, 부정문과 의문문 (0) | 2023.03.05 |
의문사 to 부정사, 의문사 주어 should 동사원형 정리 (0) | 2023.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