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관계대명사 - 개념, 주격 및 목적격 관계대명사

by 이쉬영 2023. 3. 23.

관계대명사는 2가지 품사의 기능을 가져요. 그리고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절을 이끄는 역할을 해요. 관계대명사의 구조에 따라서 주격, 목적격 그리고 소유격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격관계대명사와 목적격관계대명사에 대해 안내해 드릴게요.

2가지 품사의 기능을 가진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는 두 가지 품사의 기능을 해요. '관계 + 대명사'로 나눠서 봐볼게요. '관계'라는 말을 통해 '접속사'의 기능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대명사'라는 말로 당연히 '대명사'의 기능도 하는 것을 알 수가 있어요. 즉 관계대명사는 접속사와 대명사의 기능을 동시에 해줘요. 

예를 들어서 봐볼게요. 'I know a man. He lives alone.'(나는 한 남자를 안다. 그는 혼자 산다.)라는 2가지 문장이 있어요. 여기서 'He'는 앞에 있는 명사 'man'을 대신하는 '대명사'예요. 그리고 이 두 문장을 가운데에 접속사 'and'가 있다고 가정하여 연결해 볼게요. 'I know a man and he lives alone.' 관계대명사는 이 접속사 'and'와 대명사 'he'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요. 그래서 'I know a man who lives alone.'(나는 혼자 사는 남자를 안다.)라는 관계대명사가 들어간 문장을 만들 수 있어요. 여기에서 'who'를 '관계대명사'라고 부르고 이 '관계대명사 who'는 'and'와 'he'의 역할을 동시에 해줘요. 그리고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만들 수가 있어요.

형용사절을 이끄는 관계대명사

'who lives alone'(혼자 사는)은 한글로 '~하는'으로 끝나요. '~하는'으로 끝나는 말은 형용사의 역할을 해요.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죠? 여기에서 'who lives alone'(혼자 사는)은 앞에 있는 명사인  'a man'(남자)을 수식해 줘요. 'a man who lives alone'(혼자 사는 남자)에서 한글 해석은 형용사 덩어리(혼자 사는)가 명사(남자)를 앞에서 수식하는데 영어에서는 명사를 뒤에서 수식해요. 영어에서는 형용사가 두 단어 이상으로 길어지면 명사를 뒤에서 꾸며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그래요. ('a book to read'와 같은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도 이와 마찬가지 원리예요.)

여기에서 관계대명사보다 앞에 위치해서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형용사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를 '선행하는 명사'라는 의미의 '선행사'라고 불러요.(위의 예문에서 'a man'이 선행사입니다.) 

관계대명사의 구조(주격, 목적격)

'I know a man who lives alone.'의 구조를 봐볼게요. 'who lives alone'의 형용사절에서는 관계대명사 who 뒤에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구조의 절'이 오고 있어요. 그래서 관계대명사가 들어간 문장의 구조는 '선행사+관계대명사+불완전한 절'이 오는 형태가 돼요. 이때 불완전한 절에서 빠진 것이 주어이면 이때의 관계대명사는 '주격 관계대명사'가 되고 빠진 것이 목적어이면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돼요.

관계대명사의 종류(주격, 목적격)

선행사 주격 목적격
사람 who who, whom
사물, 동물 which
사람, 사물, 동물 that

 

1. 관계대명사의 선행사가 사람이면 주격에서는 who, 목적격에서는 whom을 써요.(일상 대화에서는 목적격에서도 who를 쓰기도 해요.)

  • We know the girl who is singing a song.(우리는 노래를 부르고 있는 그 소녀를 안다.) 

2. 관계대명사의 선행사가 사물이나 동물이면(영어 문법에서는 동물도 사물과 같이 취급을 해요.) 주격, 목적격 모두 which를 써요.

  • This is the house which I was born in.(이곳은 내가 태어난 집이다.)

3. 관계대명사 who(m), which를 대신해서 that으로 바꿔 쓸 수 있어요.

  • Do you have some money that I can borrow?(나한테 빌려줄 수 있는 돈 좀 있니?)

주격 관계대명사

앞에서 언급한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문장'에서 불완전한 문장에 주어가 빠져 있으면 주격 관계대명사예요. 다음 예문을 봐볼게요.

  • The girl is my sister. + She is wearing a blue hat.
  • The girl who is wearing a blue hat is my sister.(파란 모자를 쓰고 있는 그 소녀는 나의 여동생이다.)

위 예문에서 관계대명사 'who' 다음에 오는 절의 주어가 빠졌어요. 그래서 'who'는 주격 관계대명사예요.

그러면 'who is wearing a blue hat'에서 주격관계대명사 'who' 뒤에 있는 'is'는 어디에 수 일치를 해야 할까요? 정답은 선행사인 'the girl'에 수 일치를 하면 돼요. 그 이유는 관계대명사 who는 대명사인 'She'의 역할도 하기 때문이에요. 여기에서 'She'는 선행사 'The girl'을 대신해 주는 말이에요. 그래서 who 뒤에 있는 'is'는 선행사인 'the girl'에 수 일치를 하면 돼요.

목적격 관계대명사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문장'에서 불완전한 문장에 목적어가 빠져 있으면 목적격 관계대명사예요. 다음 예문을 봐볼게요.

  • The people were very fiendly. + I met them there.
  • The people (whom) I met there were very friendly.(내가 거기서 만난 사람들은 아주 친절했다.)

위 예문에서 관계대명사 'whom' 다음에 오는 절의 목적어가 빠졌어요. 그래서 whom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예요. 그리고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이 가능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