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조동사 have p.p 정리하기

by 이쉬영 2024. 1. 22.

조동사 have p.p는 과거에 대해서 추측을 하거나 과거에 대해서 강하게 추측을 하는 느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제로는 하지 않았다'는 느낌을 전달해주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조동사 have p.p'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과거에 대해서 추측하는 느낌을 표현

일반적으로 추측하는 느낌을 표현할 때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조동사는 'may'와 'might'입니다. (could도 추측의 느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에 대해 추측할 때는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까요?

이럴 경우 추측을 표현하는 조동사 'may, might, could' 뒤에 have p.p를 붙여주시면 됩니다.

그래서 'may have p.p,  might have p.p 그리고 could have p.p'는 과거를 추측하는 느낌을 표현할 수 있어요. 우리말로는 '~였을지도 모른다'입니다.

예문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He may have gone to the library. He said he had a lot of books to return. (그는 도서관에 갔을지도 모릅니다. 그는 반납할 책이 많다고 했습니다.)

● She might have forgotten her phone. It's still on the table. (그녀는 전화기를 잃어버렸을지도 몰라요. 그것은 여전히 탁자 위에 있어요.)

● They could have won the game. They were leading by two points until the last minute. (그들은 경기에서 이겼을 수도 있었다. 그들은 마지막 분까지 두 점 차로 앞섰다.)

과거에 대해서 강하게 추측하는 느낌을 표현

강하게 추측하는 느낌을 표현할 때에는 조동사 must를 사용하고 강한 추측의 부정형으로는 cannot을 사용합니다.

이것들도 과거에 대해 강하게 추측할 때에는 'must와 cannot'뒤에 have p.p를 붙여주세요.

그래서 must have p.p는 과거에 대해서 강하게 추측하는 느낌을 표현할 수 있고 우리말로는 '~였음에 틀림없다'입니다.

cannot have p.p는 과거에 대한 강한 부정의 추측을 표현할 수 있고 우리말로 '~였을 리가 없다'입니다.

예문을 통해 봐 볼게요.

● Terry must have studied hard. He got a perfect score on the test. (Terry는 열심히 공부했음에 틀림없어. 그는 시험에서 만점을 받았어.)

● They must have left early. I don't see their car in the parking lot. (그들은 일찍 떠났을 것임에 틀림없어요. 주차장에 그들의 차가 보이지 않아요.)

● Anna cannot have seen us. We were hiding behind the bushes. (Anna가 우리를 봤을 리가 없습니다. 우리는 덤불 뒤에 숨어있었습니다.)

● She cannot have lied to me. She is very honest and trustworthy. (그녀는 내게 거짓말했을 리가 없다. 그녀는 매우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다.)

실제로는 안 했음을 표현하는 should have p.p / could have p.p / would have p.p

should have p.p, could have p.p, would have p.p의 우리말 해석은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should have p.p: ~했어야 했다(하지만 안 했다)

could have p.p: ~할 수도 있었다(하지만 안 했다) 

would have p.p: ~했을 것이다(하지만 안 했다)

이 세 표현의 공통점이자 중요한 포인트는 괄호 안에 있는 '하지만 안 했다'의 뉘앙스를 상대방에게 전달해 준다는 것입니다. 한 표현씩 예문과 함께 봐볼게요.

 

'should have p.p'는 앞에서 본 것처럼 '~했어야 했다(하지만 안 했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이 의미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느낌일까요?

예를 들어 Tom이 캠핑에 갔어요. 하지만 비가 많이 와서 재미있게 즐기기보다는 온몸이 비에 젖었고 고생만 하고 있어요. 그래서 Tom은 다음과 같이 생각했어요.

● I should have checked the weather before I went camping. (캠핑 가기 전에 일기예보를 확인했어야 했어.)

이 상황 속에서 Tom은 일기예보를 확인했어야 했는데 실제로 일기예보를 확인을 안 했어요. 그래서 후회를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should have p.p는 '과거에 어떠한 일을 했어야 했는데 실제로는 하지 않아서 후회하는 느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could have p.p'의 의미는 '~할 수 있었다(하지만 안 했다)'입니다. 이것의 의미는 과거에 무언가를 할 수 있었던 가능성을 표현해 줘요. 즉 '과거에 어떠한 일을 할 수 있었던 능력이 됐다. 하지만 안 했다.'를 표현해 줘요. 예문과 함께 봐볼게요.

● She could have been a famous singer. She had a beautiful voice. (그녀는 유명한 가수가 될 수도 있었어. 그녀는 아름다운 목소리를 가지고 있었어.)

이 예문에서는 그녀가 과거에 아름다운 목소리를 가져서 가수가 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는 것을 전달해 줍니다. 

 

'would have p.p'의 의미는 '~했을 것이다(하지만 안 했다)'입니다. 이 의미는 과거에 일을 가정해 보거나 상상해 보는 것을 표현할 수 있어요. 예문과 함께 살펴볼게요.

● I would have invited you to my party if I had known your phone number. (내가 너의 전화번호를 알았더라면 난 너를 내 파티에 초대했을 거야.)

위 예문에서는 실제로 너를 파티에 초대하지 않았어요. 하지만 전화번호를 알았으면 초대했을 것이라고 과거의 일을 상상해서 말하고 있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