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나 필요의 느낌을 표현하거나 강하게 추측하는 느낌을 표현할 때는 'must와 have to'를 사용합니다. (must의 과거형 조동사는 없습니다. 과거시제를 표현하기 위해 have to를 사용합니다.) 오늘은 조동사 must와 have t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무, 필요의 느낌을 표현
의무나 필요의 느낌을 표현할 때에는 'must와 have to'를 사용합니다. 우리말로는 '~해야 한다.'로 해석됩니다.
must는 말하는 사람이 '자신의 생각으로 무언가를 해야 한다'라고 직접 결정하는 상황에서 쓰고 have to는 '외부 환경에 의해서 무언가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씁니다.
예를 들어서 Jim은 치통이 있어요. 근데 귀찮아서 병원에는 가지 않고 있어요. 그러한 Jim에 대해 친구들끼리 이야기하고 있어요.
● Jim must go to the dentist. His toothache is getting worse. (Jim은 치과에 가야 해. 그의 치통이 점점 심해지고 있어.)
위의 예문에서는 자신의 생각으로 Jim이 병원에 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있어요.
이번에는 친구들이 Jim을 만나서 치과 예약이 있다는 말을 들은 상황이에요.
● Jim has to go to the dentist. He has an appointment at 3 pm. (Jim은 치과에 가야 해. 그는 오후 3시에 예약이 있어.)
이 예문에서는 Jim이 치과 예약을 해놨어요. 그래서 이러한 외부 환경에 의해서 Jim이 치과에 가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거예요.
* must의 부정문인 'must not'은 '~하면 안 된다'의 의미로 쓰입니다. 하지만 have의 부정문인 'don't [doesn't] have to'는 '~할 필요가 없다'의 의미로 쓰이니 주의해 주세요.
● You must not smoke in this building. It's against the law. (이 건물에서 담배를 피우면 안 됩니다. 법에 어긋납니다.
● You don't have to smoke if you don't want to. Nobody is forcing you. (담배를 피우고 싶지 않다면 피울 필요가 없습니다. 아무도 강요하지 않습니다.)
must는 조동사여서 미래를 나타낼 때 'will must ~'의 형태로 쓸 수가 없어요. 이때는 have to를 이용해서 'will have to ~'의 형태로 나타내면 됩니다.
● Kate will have to work overtime to finish the project. (Kate는 프로젝트를 끝내기 위해 야근을 해야 할 것입니다.)
must의 과거형 조동사는 없습니다. 그래서 have to의 과거형 'had to'로 과거의 의무나 필요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I had to call the police when I saw the robbery. (난 강도 사건을 보고 경찰에 전화해야만 했어.)
강한 추측의 느낌을 표현
must는 강한 추측의 느낌을 표현할 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로는 '~임에 틀림없다.'로 해석됩니다. 그리고 문법책에서 have to는 '의무'의 느낌을 표현할 때만 쓸 수 있다고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실생활에서는 강한 추측을 표현할 때에도 have to를 사용합니다. 예문과 함께 봐볼게요.
● My son must be very smart. He solved the math problem in a few seconds. (내 아들은 아주 똑똑한 것임에 틀림없어. 그는 수학 문제를 몇 초 안에 풀었거든.)
● She must be a famous singer. I saw her on TV yesterday. (그녀는 유명한 가수일 것임에 틀림없어요. 어제 TV에서 그녀를 봤어요.)
강한 추측의 부정형으로는 cannot을 사용합니다.
● She cannot be a millionaire. She lives in a small aprtment.(그녀는 백만장자일 리가 없어요. 그녀는 작은 아파트에서 살고 있거든요.)
과거의 일을 강하게 추측할 때에는 must have p.p형태(~였음에 틀림없다.)를 사용할 수 있고 강한 추측의 부정을 과거시제로 표현할 때에는 cannot have p.p형태(~였을 리가 없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Jason must have studied hard. He got a perfect score on the test. (Jason은 열심히 공부했었음에 틀림없습니다. 그는 시험에서 만점을 받았습니다.)
● Silvia cannot have forgotten our anniversary. She sent me a lovely gift. (Silvia가 우리 기념일을 잊었을 리가 없어. 그녀가 내게 멋진 선물을 보내줬거든.)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ed to ~와 would 비교하기 (0) | 2024.01.11 |
---|---|
조동사 will과 would 알아보기 (4) | 2024.01.09 |
조동사 may와 might 알아보기 (2) | 2024.01.03 |
조동사의 can과 could 알아보기 (2) | 2024.01.02 |
조동사 기본 개념과 특징 알아보기 (0) | 2023.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