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먼저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의 개념에 대해 살펴볼게요. 그리고 '목적, 감정의 원인, 판단의 근거, 형용사 수식, 그리고 결과' 등의 다양한 의미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은 `to+동사원형`이 부사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에요. 그러면 부사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 건가요? '동사, 형용사, 부사, 그리고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부사예요.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은 '명사적 용법'이나 '형용사적 용법'보다 의미가 더 다양해요. 그래서 배울 때 부담스러울 수도 있지만 하나하나 알아보고 문장을 많이 접하다 보면 익숙해질 수 있어요.
목적 (~하기 위해서)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의미예요. 한국어로는 `~하기 위해서`로 해석이 돼요.
예문을 봐볼게요. `그는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서 역에 갔어요.`라는 말을 영어로 옮겨볼게요.
먼저 '그는 역에 갔어요.'를 영어로 옮기면 `He went to the station.`이에요.
그러면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서'는 어떻게 영어로 옮기면 될까요? 일단 '어머니를 만나다'는 영어로 `meet his mother.`예요. 여기에서 '만나다'라는 동사를 '만나기 위해서'라는 말로 바꿔야 하는데 이때 `to 부정사`를 이용하면 돼요.
그래서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서`는 영어로 `to meet his mother`이고 전체 문장을 정리하면 `He went to the station to meet his mother.`가 돼요.
위의 예문에서 본 것처럼 `~하다`라는 동사를 `~하기 위해서`로 바꿀 때 쓰는 것이 `to 부정사`입니다. 그리고 이것 `목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목적`의 의미로 쓰일 때 `to 부정사` 앞에 `in order`이나 `so as`를 붙이면 `목적`의 의미를 더 분명하게 표현할 수 있어요.
● Amy studied hard to raise her grades. (Amy는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했어요.)
= Amy studied hard in order to raise her grades.
= Amy studied hard so as to raise her grades.
● Jack put on glasses to read a book. (Jack은 책을 읽기 위해서 안경을 썼습니다.)
= Jack put on glasses in order to read a book.
= Jack put on glasses so as to read a book.
감정의 원인 (~해서)
`glad, pleased, excited, sad, angry, sorry, surprised, happy`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 뒤에서 감정의 원인을 나타내줘요. 한국어로 `~해서`로 해석이 돼요.
예문을 봐볼게요. `난 너를 만나서 반가워.`를 영어로 옮겨 볼게요. `나는 반가워.`는 영어로 `I'm glad`예요.
`너를 만나서`를 영어로 옮기기 위해서는 `너를 만나다`가 무엇인지 먼저 알아야겠죠? `meet you`예요. 여기서 동사 `만나다`를 `만나서`로 바꾸려면 `to 부정사`를 쓰면 돼요. 그래서 `너를 만나서`는 `to meet you`이고 전체 문장은 `I'm glad to meet you.`예요. `to meet you`(너를 만나서)가 `glad`(반가운)의 감정의 원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많이 본 문장이죠? 우리가 많이 들어본 이 간단한 문장이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에서 감정의 원인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문장이에요.
● We were happy to hear that she had succeeded. (우리는 그녀가 성공했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했어요.)
● Alice was touched to know his sincerity. (Alice는 그의 진심을 알고 감동했어요.)
● David was sad to learn that he had lost his father. (David는 그의 아버지를 잃었다는 사실을 알고 슬퍼했습니다.)
판단의 근거 (~하다니, ~하는 것을 보니)
`to 부정사`가 판단의 근거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한국어로 `~하다니 혹은 ~하는 것을 보니`로 해석이 돼요.
예문을 봐볼게요. `그가 다리에서 뛰어내리다니 미쳐 있음에 틀림없어.`라는 말을 영어로 옮겨볼게요.
'그가 미쳐 있음에 틀림없다.'는 영어로 `He must be crazy`예요.
다음으로 `다리에서 뛰어내리다니`를 영어로 말하기 위해서는 `다리에서 뛰어내리다`를 먼저 알아야 하고 그것은 `jump off the bridge`입니다. 여기에서 `뛰어내리다`를 `뛰어내리다니`로 바꾸려면 'to 부정사'를 이용하면 돼요. 따라서 `다리에서 뛰어내리다니`는 `to jump off the bridge`가 됩니다.
전체 문장은 `He must be crazy to jump off the bridge.`로 정리할 수 있어요. 이 문장에서 `to jump off the bridge`(다리에서 뛰어내리다니)가 `He must be crazy'(그가 미쳐 있음에 틀림없다)의 판단의 근거임을 알 수 있어요.
● They must be very brave to face the danger. (그들이 위험에 맞서다니 아주 용감함에 틀림없습니다.)
● He cannot be a good father to neglect his children. (그가 자식들을 방치하다니 좋은 아버지일 리가 없어요.)
● Alan cannot be serious to say such a thing. (Alan이 그런 말을 하는 것을 보니 진지할 리가 없다.)
형용사 수식 (~하기에)
to 부정사가 형용사를 수식할 때에는 한국어로 `~하기에`로 해석이 돼요.
예문을 봐볼게요. `이 책은 읽기에 흥미롭습니다.`를 영어로 옮겨볼게요. `이 책은 흥미롭습니다.`는 `This book is interesting`입니다.
`읽기에`를 영어로 말하려면 `읽다`라는 동사를 먼저 알아야겠죠? `읽다`는 `read`예요. `읽다`를 `읽기에`로 바꾸려면 마찬가지로 'to 부정사'를 이용하면 돼요. 따라서 `읽기에`는 `to read`가 됩니다.
전체 문장은 `This book is interesting to read`로 정리할 수 있어요. 여기에서 `to read`(읽기에)가 형용사 `interesting`(흥미로운)을 수식해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
● The movie is boring to watch. (그 영화는 보기에 지루합니다.)
● Sarah is clever enough to solve the puzzle. (Sarah는 퍼즐을 풀기에 충분히 똑똑해요.)
● I'm too young to drive a car.(나는 자동차를 운전하기에 너무 어려요.)
결과 (~해서 ~되다, ~하였으나 결국 ~하고 말았다)
to 부정사가 `결과`의 의미를 가질 때는 한국어로 `~해서 (그 결과) ~되다.`로 해석돼요.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 `결과`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을 해야 해요. (해석을 다른 것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해야 해요.)
예문을 볼게요. 'She ran fast to miss the bus.'라는 문장이 있어요. 이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목적`의 의미로 해석을 하면 말이 될 것 같아요. 그래서 `그녀는 버스를 놓치기 위해서 빨리 달렸어요.`로 해석을 해보았어요. 근데 무언가 이상하지 않나요? 버스를 놓치기 위해 빨리 달리는 것은 보통은 이상해요. 빨리 달렸으나 결국 버스를 놓친 상황인 거죠. 이 문장은 `그녀는 빨리 달렸으나 버스를 놓치고 말았다.`로 해석하면 돼요.
이 `결과`의 의미는 `목적`의 의미인 `~하기 위해서`와 혼동하지 않도록 문장을 잘 보아야 해요. 그리고 앞에서부터 해석하여서 `~해서 (그 결과) ~되다' 혹은 '~하였으나 (결국) ~하고 말았다`로 해석하면 돼요.
● My sister ate too much to get sick. (내 여동생은 너무 많이 먹어서 아팠습니다.)
● Steve opened the door only to find nobody there. (Steve는 문을 열었는데, 결국 아무도 없는 것을 발견했다.)
* `only`가 `to 부정사`의 앞에 있으면 놀람, 실망을 강조해 줘요.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명사의 개념 정리 및 to 부정사와의 비교 (2) | 2023.02.16 |
---|---|
to 부정사 - 의미상의 주어 (0) | 2023.02.12 |
to 부정사 - 형용사적 용법 (0) | 2023.02.05 |
to 부정사 - 명사적 용법 (0) | 2023.01.31 |
문장의 5 형식 - 지각 동사,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능동 및 수동 (5 형식 파트 2) (0) | 2023.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