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3

to 부정사 - 의미상의 주어 오늘은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에 대해서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먼저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가 무엇인지 안내해 드리고 의미상의 주어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및 'for+목적격'과 'of+목적격'으로 나타내는 경우에 대해 하나씩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란? to 부정사는 '동사원형' 앞에 'to'를 붙여서 원래 동사였던 것이 다른 품사 역할(명사, 형용사, 부사)을 하는 거예요.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하지만 그 근본이 동사에서 온 것이에요. 그래서 그 'to 부정사'의 주체가 있을 수 있고 이를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라고 불러요. 이렇게만 들으면 무슨 말인지 헷갈리실 수 있어요. 하지만 밑에서 예문을 통해 차근차근 배워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요. .. 2023. 2. 12.
to 부정사 - 부사적 용법 (목적, 감정의 원인, 판단의 근거, 형용사 수식, 결과) 오늘은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먼저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의 개념에 대해 살펴볼게요. 그리고 '목적, 감정의 원인, 판단의 근거, 형용사 수식, 그리고 결과' 등의 다양한 의미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은 `to+동사원형`이 부사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에요. 그러면 부사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 건가요? '동사, 형용사, 부사, 그리고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부사예요.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은 '명사적 용법'이나 '형용사적 용법'보다 의미가 더 다양해요. 그래서 배울 때 부담스러울 수도 있지만 하나하나 알아보고 문장을 많이 접하다 보면 익숙해질 수 있어요. 목적 (~하기 위해서) to 부.. 2023. 2. 8.
to 부정사 - 형용사적 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에 대해서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이라는 명칭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동사원형'앞에 'to'를 붙여서 만든 'to 부정사'가 형용사의 역할을 한다는 말이에요. 형용사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형용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야 하겠죠?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해요. 여기에서 수식한다는 말은 꾸며준다는 말로 생각해 주시면 돼요. 'Look at the cute cat'이라는 예문을 볼게요. 여기서 'cute'(귀여운)이라는 형용사가 'cat'(고양이)라는 명사를 꾸며주고 있어요. 이렇게 형용사는 명사의 앞에서 명사를 꾸며줄 수 있어요. 형용사가 두 단어 이상으로 길어지면 명사를 뒤에서 꾸며줘요. 'This i.. 2023. 2. 5.
to 부정사 - 명사적 용법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to 부정사에 대해 배워볼게요. 부정사라는 말은 '품사가 정해지지 않는다'는 말로 인칭이나 수에 의해 그 형태가 정해지지 않아요. 그리고 'to 부정사'는 동사원형 앞에 'to'를 붙여서 동사가 아닌 다른 품사(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해요. 근데 처음 배우는 사람들은 이 말이 무슨 말인지 굉장히 헷갈리고 어렵게 느껴져요. 그리고 'to 부정사'라는 용어도 무언가 어렵게 느껴지게 하는 데에 한몫을 하고 있어요. 그런데 알고 보면 별거 아니에요. 제가 하나하나 설명해 드릴게요.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의 개념 동사는 우리말로 '~하다'로 끝나요. 동사로 명사의 역할을 하게 하려면 우리말로 '~하다'를 '~하는 것 혹은 ~하기'로 바꾸면 돼요. 예를 들어 '마.. 2023. 1. 31.
문장의 5 형식 - 지각 동사,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능동 및 수동 (5 형식 파트 2)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 5 형식 불완전 타동사의 개념과 사역동사, 그리고 목적격 보어로 'to 부정사'를 쓰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았어요. 오늘은 5 형식 지각 동사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능동 및 수동 관계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지각 동사(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 ~ing) 'see, watch, hear, listen to, smell, notice, feel' 등의 동사는 목적격보어로 '동사원형'이나 '~ing'를 써요. 예를 들어서 'I saw him enter the room.'이라는 문장이 있어요. 주어는 'I'(나는), 동사는 'saw'(보았다), 목적어는 'him'(그가), 이고 목적격 보어는 동사원형을 써서 'enter the room'(그 방에 들어가는 것을)이에요. 정리하면.. 2023. 1. 26.
문장의 5형식 - 5형식 불완전타동사, 사역동사, 목적격 보어로 to부정사 안녕하세요. 오늘은 문장의 5형식 불완전타동사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5형식 불완전타동사에서는 보어가 들어가요.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설명하는 말이에요. 2형식 불완전자동사에서는 보어가 주어를 보충설명하는 역할(주격보어)을 하는데 5형식 불완전타동사에서는 보어가 목적어를 보충설명하는 역할(목적격보어)을 해요. 이 점을 유의하면서 다음 설명을 보도록 할게요. 5형식 불완전타동사 5형식 불완전타동사는 '주어+동사+목적어+목적격보어'로 이루어진 문장이에요. 이 문장의 특징은 목적어를 보충설명하는 목적격보어가 있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서 'My dog makes me happy.'(나의 개는 나를 행복하게 만든다.)라는 문장이 있어요. 주어는 'My dog'(나의 개), 동사는 'make'.. 2023. 1. 20.
문장의 5형식 - 3형식 완전타동사, 4형식 수여동사, 4형식 문장을 3형식으로 전환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문장의 5형식 중에서 3형식 완전타동사와 4형식 수여동사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1형식과 2형식에서는 목적어가 없지만 3형식 완전타동사와 4형식 수여동사는 목적어가 뒤에 오는 동사입니다. 각각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지금부터 안내해 드릴게요. 3형식 완전타동사 3형식 완전타동사는 '주어+동사+목적어'로 이루어진 문장이에요. 그리고 여기에서 목적어는 '동사의 대상'을 말하는 거예요. 목적어는 해석할 때 한글로 '~을/~를'이 뒤에 위치해요. 예를 들어서 'My dog likes the toy.'라는 문장이 있어요. 주어는 'My dog'(나의 개)이고 동사는 'like'(좋아한다)예요. 그리고 나의 개가 좋아하는 대상은 목적어인 'the toy'(그 장난감)이에요. .. 2023. 1. 16.
1형식 완전자동사와 2형식 불완전자동사 및 감각동사 이해하기 영어의 문장은 동사의 종류에 따라서 5가지의 형식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영어 문장의 5가지 형식 중에서 1형식인 완전자동사와 2형식인 불완전자동사 및 2형식 감각동사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자동사와 타동사자동사는 목적어가 오지 않는 동사를 말합니다. ● I can run fast.(나는 빠르게 달릴 수 있어.) → 'run'은 목적어가 없는 자동사 * fast는 목적어가 아닙니다. 목적어는 '동사의 대상'이며 해석할 때 뒤에 '-을/-를'이 붙습니다. 타동사는 목적어가 오는 동사를 말합니다.● She likes nice clothes.(그녀는 멋진 옷을 좋아해.) → 'like'는 목적어가 있는 타동사* nice clothes는 like의 대상인 목적어입니다. 해.. 2023.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