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부정사 - 부사적 용법 (목적, 감정의 원인, 판단의 근거, 형용사 수식, 결과)
오늘은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먼저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의 개념에 대해 살펴볼게요. 그리고 '목적, 감정의 원인, 판단의 근거, 형용사 수식, 그리고 결과' 등의 다양한 의미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to 부정사 부사적 용법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은 `to+동사원형`이 부사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에요. 그러면 부사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 건가요? '동사, 형용사, 부사, 그리고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부사예요.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은 '명사적 용법'이나 '형용사적 용법'보다 의미가 더 다양해요. 그래서 배울 때 부담스러울 수도 있지만 하나하나 알아보고 문장을 많이 접하다 보면 익숙해질 수 있어요. 목적 (~하기 위해서) to 부..
2023. 2. 8.
문장의 5 형식 - 지각 동사,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능동 및 수동 (5 형식 파트 2)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 5 형식 불완전 타동사의 개념과 사역동사, 그리고 목적격 보어로 'to 부정사'를 쓰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았어요. 오늘은 5 형식 지각 동사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능동 및 수동 관계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지각 동사(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 ~ing) 'see, watch, hear, listen to, smell, notice, feel' 등의 동사는 목적격보어로 '동사원형'이나 '~ing'를 써요. 예를 들어서 'I saw him enter the room.'이라는 문장이 있어요. 주어는 'I'(나는), 동사는 'saw'(보았다), 목적어는 'him'(그가), 이고 목적격 보어는 동사원형을 써서 'enter the room'(그 방에 들어가는 것을)이에요. 정리하면..
2023.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