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5

형용사의 한정적 용법 및 서술적 용법 알아보기 품사 중에서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형용사는 한정적 용법과 서술적 용법, 2가지로 분류를 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형용사의 한정적 용법과 서술적 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형용사의 한정적 용법한정적 용법은 형용사가 명사의 앞이나 뒤에서 꾸며줍니다.예를 들어서 'The noisy children were playing in the park.'(시끄러운 아이들이 공원에서 놀고 있었습니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여기에서 형용사 'noisy'(시끄러운)가 명사 'children'(아이들)을 꾸며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한정적 용법은 명사의 앞에 위치하여 꾸며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이번에는 'Something important came up.'(중요한 .. 2024. 12. 27.
be known for / as / to 알아보기 be known의 뒤에는 전치사 'for, as 및 to'가 올 수가 있습니다. 이들은 형태가 비슷하지만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헷갈릴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be known for, be known as, be known to'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be known for의 의미'be known for'은 '~로 알려져 있다, ~로 유명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어떠한 이유로 유명한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The town is known for its annual hot air balloon festival.'(그 도시는 매년 열리는 열기구 축제로 유명하다.)위 예문을 살펴보면 주어인 'The town'은 'is know.. 2024. 12. 26.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만드는 방법 영어에서 수동태를 처음 배울 때 보통 3형식 문장으로 배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4형식 문장이나 5형식 문장도 수동태를 만들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5형식의 문장을 수동태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5형식 문장이란?5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5형식 문장의 포인트는 '목적격보어'가 있다는 것입니다. '목적격보어'는 말 그대로 목적어를 보충설명을 해줍니다.예를 들면 'She considered the plan a success.'(그녀는 그 계획을 성공이라고 여겼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이 문장은 'She(주어) + considered(동사) + the plan(목적어) + a success(목적격보어)'로 되어 있습니.. 2024. 12. 23.
4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만드는 방법 알아보기 수동태를 처음 배울 때는 보통 3형식 문장으로 수동태 만드는 방법을 배웁니다. 하지만 4형식이나 5형식과 같은 문장들도 수동태로 만들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4형식의 문장을 수동태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4형식 문장이란?4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I.O) + 직접목적어(D.O)'로 이루어진 문장을 말합니다.예를 들어서 'The science teacher gave students homework.'라는 문장이 있습니다.이 문장은 'The science teacher(주어) + gave(동사) + studnets(간접목적어) + homework(직접목적어)'로 이루어진 4형식 문장입니다.해석은 '그 과학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숙제를 내주었다.'이며 간접목적.. 2024. 12. 19.
have와 have got에 대해 알아보기 우리가 '소유'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동사를 떠올릴 때 흔히 동사 'have'가 떠오릅니다. 하지만 'have got'도 '소유'의 의미로 쓰일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소유'의 의미로 사용되는 'have'와 'have got'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have와 have got의 차이점'have got'은 'have'에 비해 더 'informal'합니다. 그래서 주로 구어체에서 많이 쓰는 표현입니다. 또한 'have got'은 보통 축약형을 많이 사용합니다. 예문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주어가 3인칭 단수가 아닌 경우● I've got a meeting at 3 PM. (오후 3시에 회의가 있습니다.)● We've got two adorable cats and  a playfu.. 2024. 12. 5.
영어에서 능동과 수동의 개념을 구분하는 방법 수동태에 대해서 이미 배운 상태에서도 능동과 수동의 개념을 구분하는 것은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영어를 배우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능동과 수동의 개념'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능동의 개념능동의 개념은 '주어가 어떠한 대상(목적어)에게 능동적으로(직접) 어떠한 행위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서 'David fixed the old bike.'(David는 그 오래된 자전거를 수리했다.)라는 예문이 있습니다.위 예문에서 주어인 'David'가 직접 'the old bike'를 고치는 행위를 하였습니다.능동은 이렇게 주어가 직접 목적어에게 어떤 행동을 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다른 예문들을 더 살펴보겠습니다.● I made a s.. 2024. 12. 3.
To 부정사와 동명사의 수동태 to 부정사와 동명사로 수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서 to 부정사, 동명사 및 수동태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것들을 먼저 이해한 상태에서 이번 포스팅을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늘은 to 부정사와 동명사의 수동태를 알아보겠습니다.to 부정사의 수동태to 부정사의 형태는 'to + 동사원형'입니다. 수동태의 형태는 'be + p.p'입니다. 따라서 to 부정사의 수동태는 'to' 뒤에 'be동사'의 동사원형인 'be'가 오고 뒤에 p.p가 그대로 오면 됩니다. (참고로 p.p는 형용사처럼 생각하시면 됩니다.)그래서 'to be p.p'의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예를 들어 'I like my room to be cleaned neatly' (나는 내 방이 깨끗하게 정리된 것을 좋아한다.).. 2024. 11. 21.
'to 부정사'와 '동명사'를 부정하는 방법 be 동사와 조동사를 부정할 때는 동사의 뒤에 not이 붙고 일반동사를 부정할 때는 don't(doesn't/didn't)가 동사의 앞에 붙습니다. 그러면 to 부정사나 동명사를 부정하려면 어떻게 할까요? 오늘은 to 부정사와 동명사를 부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to 부정사의 부정to 부정사를 부정하는 방법은 to 부정사의 'to' 앞에 not이나 never이 오면 됩니다. 보통은 not을 사용하는 것이 더 일반적입니다.(never이 오는 경우는 not보다 더 강하게 부정하는 것입니다.)예를 들어서 'My brother decided not to buy the house.' (내 남동생은 그 집을 사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라는 예문이 있습니다.여기에서 to 부정사인 'to buy the house'.. 2024.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