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3 접속사 when과 관계부사 when의 차이 알아보기 when은 접속사로도 쓰일 수 있고 관계부사로도 사용이 가능한 단어입니다. 그러다 보니 문장에서 when이 나올 경우 접속사로 쓰였는지 관계부사로 쓰였는지 많이 혼동합니다. 오늘은 접속사 when과 관계부사 when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접속사 when접속사 when은 주절과 부사절을 연결해 주는 접속사입니다.그리고 부사절 앞에 위치하고 '~할 때'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문을 살펴보겠습니다.● I was checking my emails when my cat knocked over the vase. (내가 이메일을 확인하고 있을 때, 내 고양이가 꽃병을 넘어뜨렸다.)여기에서 주절은 'I was checking my emails'이고 부사절은 'when my cat knocked over .. 2025. 3. 17. so와 neither을 이용한 동의 표현 알아보기 상대방의 말에 동의를 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Me, too'를 떠올리기가 쉬울 것입니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so와 neither을 이용한 동의를 많이 사용합니다. 오늘은 so와 neither을 이용한 동의 표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so를 이용한 동의 표현(긍정)대화 상대방이 긍정문으로 말하였을 경우 'so'를 이용하여 동의를 하면 됩니다. 이때 'So + 동사 + 주어'의 형태를 이루어야 합니다.* 대화 상대방이 말한 문장의 동사가 be동사면 be동사로, 일반동사면 do동사로, 조동사면 조동사로 동의해 주세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A: I'm excited about the new movie. (나는 새 영화가 기대 돼.)위 문장에 '나도 그래'라고 동의하려고 합니다. 어.. 2025. 3. 13. at the end와 in the end의 차이 알아보기 'at the end'와 'in the end'는 둘 다 'the end' (끝)이 있습니다. 그래서 겉보기에는 비슷해 보이지만,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형태가 비슷하여 헷갈리는 at the end와 in the end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at the end의 의미직역한 의미 그대로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직역하면 '~의 끝에'입니다., '어떠한 것이 끝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그리고 보통은 'at the end of ~'의 형태로 뒤에 'of'가 옵니다.예를 들어서 'At the end of the February, the weather started to warm up.' (2월 말에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였습니다.)를 보겠습니다.여기에서 'At.. 2025. 3. 11. 현재시제의 의미 정리하기 영어 문법에서 현재시제는 '현재'라는 단어 때문에 '지금 일어나는 일'만 표현하는 말로 생각되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현재시제는 '지금 일어나는 일'만 표현하는 말이 아닙니다. 오늘은 현재시제의 의미를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현재시제의 기본 의미현재시제는 '평소에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일'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서 'Emma wakes up at 6 AM every morning.'(Emma는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난다.)라는 문장을 보겠습니다.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나는 것은 평소에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것입니다.Emma는 한 달 전에도 아침 6시에 일어났을 것이고 일주일 전도 마찬가지고 오늘도 아침 6시에 일어났을 것이고 별다른 일이 없다면 미래에도 아침 6시에 일어날 것입니다.이.. 2025. 3. 10. afraid of ~ing와 afraid to do의 차이 알아보기 영어를 배우다 보면 'afraid of ~ing'와 'afraid to do'표현이 나오는 것을 많이 경험해 볼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표현의 의미에도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오늘은 'afraid of ~ing'와 'afraid to do'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afraid of ~ing의 의미'afraid of ~ing'는 '~하는 것이 두려운'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어떠한 나쁜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사용합니다. 그리고 '의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일이 아닌 경우' 사용합니다.간단하게 '무언가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은데 그 일이 내가 선택할 수 없는 어쩔 수 없는 일'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문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I'm afraid of s.. 2025. 3. 5. if와 when의 차이 알아보기 '그 책 다 읽으면 나한테 빌려줘.'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이 문장에서 '~하면'을 표현하려면 'if'와 'when' 중에서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요?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접속사 if와 when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if의 의미'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에는 'if'를 사용하면 됩니다.즉 '어떠한 일이 일어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 표현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If it rains tomorrow, we will stay indoors and play board games. (내일 비가 온다면, 우리는 실내에 머물며 보드게임을 할 거예요.)위 예문에서 내일 비가 올 수도 있고 오지 않을 수도 있는 상황에서 말하.. 2025. 3. 4.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서 현재시제로 미래를 표현하기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현재시제로 미래를 표현합니다. 이 말은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이 문구를 이해하고 나서도 그 이유를 모른 채 그냥 암기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를 제대로 알아보겠습니다.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서 현재시제로 미래를 표현한다는 말의 의미먼저 예문을 하나 살펴보겠습니다.● When the baby falls asleep, the parents will have some quiet time. (아기가 잠들면 부모님은 조용한 시간을 가질 것이다.)이 문장은 주절과 부사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the parents will have some quiet time'은 '주절'이고 '주된 절'을 말합니다.'When the baby falls asleep.. 2025. 2. 27. 현재시제로 미래를 표현하기 혹시 현재시제로 미래의 일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을 아시나요? 겉보기에 어려워 보이지만 이것은 현재시제의 특징을 잘 이해하면 쉽게 이해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현재시제로 미래를 표현하는 경우와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현재시제로 미래를 표현하는 경우와 그 이유미래에 어떠한 일이 일어날 것이 확정되어 있는 경우 현재시제로 미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시간표나 프로그램처럼 공식적인 계획이 잡혀있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현재시제의 특징을 살펴보면 위의 이유를 간단하게 알 수가 있습니다.원래 현재시제는 '지금' 시점만 표현하는 것이 아닙니다.'평소에 반복되는 일'을 표현하는 것이 현재시제입니다. '평소에 반복되는 일'은 '일반적인 사실'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Paul'이 매일 아침.. 2025. 2. 26. 이전 1 2 3 4 5 6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