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5

'a number of'와 'the number of'의 차이 알아보기 'a number of ~'와 'the number of ~'는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의미가 다르고 주어자리에 왔을 때 수일치가 헷갈리는 편입니다. 오늘은 'a number of'와 'the number of'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a number of'의 의미 및 수일치'a number of'의 의미는 영영사전에서 'more than two but fewer than many'로 나와 있습니다.'2개보다는 많지만 많지는 않은' 그러한 느낌입니다. 즉 '여러 개의, 몇 개의'의 의미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그러면 '여러 개의, 몇 개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a number of'의 뒤에는 단수명사와 복수 명사 중 어떠한 명사가 와야 할까요? 당연.. 2024. 7. 18.
복합관계대명사(명사절, 부사절)에 대해 알아보기 복합관계대명사는 '관계대명사 + ever'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형용사절을 이끄는 관계대명사와는 달리 복합관계대명사는 명사절과 부사절을 이끌어 줍니다. 오늘은 이러한 복합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복합관계대명사의 형태 및 역할복합관계대명사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관계대명사(who, which, what) + ever'의 생김새를 가졌습니다. 그리고 명사인 선행사(any + 명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복합관계대명사의 역할은 2가지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1. 명사절을 이끌어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2. 양보를 나타내주는 부사절을 이끌어줍니다. 각각의 복합관계대명사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명사절부사절whoever(주격), whomever(목적격), .. 2024. 7. 4.
명사절 if와 whether의 공통점 및 차이점 알아보기 우리말로 '~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명사절 접속사로 if와 whether이 있습니다. 이 두 접속사는 공통점도 있지만 여러 가지 차이점도 존재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if와 whether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공통점1. 둘 다 동사의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있습니다.2. '~인지 아닌지'로 해석이 됩니다.3. 절 마지막에 'or not'이 올 수 있습니다.('or not'은 생략해도 됩니다.)whether / if와 or notwhether ~ or not과 whether or not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T● The teacher is considering whether the students should be assigned homework or.. 2024. 6. 25.
영어 명사절의 종류 정리하기 명사절은 문장에서 명사의 역할(주어, 목적어, 보어)을 하는 절(clause)입니다. 이 명사절에는 '접속사 that'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종류들이 있는데 오늘은 영어에서 이러한 명사절의 종류들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접속사 that접속사 that은 뒤에 완전한 절이 오고 '~하는 것'으로 해석이 됩니다. 예문과 함께 살펴볼게요.● She insisted that we should meet earlier to discuss the project. (그녀는 우리가 프로젝트를 논의하기 위해 더 일찍 만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The teacher mentioned that there would be a surprise quiz next week. (선생님께서는 다음 주에 깜.. 2024. 6. 18.
although, even though, despite, in spite of의 차이 알아보기 우리말 '비록 ~이지만'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나 어구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although, even though, despite, in spite of'가 여기에 해당이 됩니다. 오늘은 이러한 것들이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비교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though, although, even though + 절(주어 + 동사 ~)'although'(앞의 'al'을 빼고 'though'만 사용하기도 해요)와 'even though'는 종속접속사입니다. 그래서 뒤에 '절(clause)이 와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뒤에 '주어 + 동사 ~'의 형태가 와야 합니다. 의미는 '비록 ~이지만'입니다. 이들은 서로 같이 혼용해서 사용해도 상관이 없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습니다.우선 'tho.. 2024. 6. 11.
because와 because of의 차이 알아보기 우리말로 '~ 때문에'의 의미를 가진 'because'와 'because of'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요?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이 둘은 '전치사'와 '접속사'의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because'와 'because of'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because + 절because는 종속접속사입니다. 종속접속사는 '주절'과 '종속절'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because의 뒤에는 '절(clause)'이 와야 합니다. 즉, because의 뒤에는 '주어+동사 ~'가 옵니다.  예를 들어서 'Jack failed the exam because he didn't study enough. (Jack은 충분히 공부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험에서 떨어졌다.)'라는 예문이 있어.. 2024. 6. 5.
want와 would like의 차이 알아보기 영어에서 우리가 원하는 것이 있을 경우 'want'와 'would like'를 이용하여 표현을 많이 합니다. 그러면 이것들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 걸까요? 오늘은 want와 would의 차이를 알아보고 대화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예문을 보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want의 의미'원하다'를 영어로 떠올릴 때 대표적으로 많이 떠오르는 단어입니다. would like 보다 좀 더 친밀한 사이에서 쓰는 직접적인 느낌의 표현입니다.'want + 명사'로 쓰거나 'want to 동사원형 ~'으로 쓸 수 있어요. 예문과 함께 살펴볼게요.● I want a robot to help me with household chores. (저는 가사 일을 도와줄 로봇을 원해요.)● Amy wants a new bicycle .. 2024. 5. 28.
clean up과 tidy up의 차이 알아보기 청소나 정리에 관련된 영어 표현에는 'clean up과 tidy up'이 있습니다. 이 두 표현은 거의 비슷하게 쓰일 수 있지만 약간의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 헷갈리는 영어 표현인 'clean up'과 'tidy up'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clean up의 의미clean up은 '완전하게 청소를 하고 정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서 Susan은 주말마다 청소를 해요. 평일에는 일 때문에 바빠서 청소를 하지 않는 대신에 주말에 한꺼번에 집 전체를 꼼꼼하게 청소해요. 먼지도 털고 청소기를 돌리고 바닥도 걸레질하는 등 열심히 청소를 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영어로 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Every weekend, Susan dedicates her time to cl.. 2024.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