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하면 쉬운 영문법135 관계대명사 - 개념, 주격 및 목적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는 2가지 품사의 기능을 가져요. 그리고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절을 이끄는 역할을 해요. 관계대명사의 구조에 따라서 주격, 목적격 그리고 소유격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격관계대명사와 목적격관계대명사에 대해 안내해 드릴게요. 2가지 품사의 기능을 가진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는 두 가지 품사의 기능을 해요. '관계 + 대명사'로 나눠서 봐볼게요. '관계'라는 말을 통해 '접속사'의 기능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대명사'라는 말로 당연히 '대명사'의 기능도 하는 것을 알 수가 있어요. 즉 관계대명사는 접속사와 대명사의 기능을 동시에 해줘요. 예를 들어서 봐볼게요. 'I know a man. He lives alone.'(나는 한 남자를 안다. 그는 혼자 산다.)라는 2가지 문.. 2023. 3. 23. 간접의문문 - 개념, 어순(의문사, 주어, 동사) 등 정리 간접의문문은 직접의문문과의 어순 차이 때문에 시험문제에서 많이 나오기도 합니다. 그 경우의 수가 다양하기 때문에 한 번에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간접의문문의 개념과 어순, 의문사가 주어로 오는 경우, 의문사가 없는 경우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간접의문문의 개념과 어순 먼저 간접의문문은 무엇일까요? 직접의문문은 "너 오늘 저녁 먹었어?"라고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물어보는 것입니다. 간접의문문은 "나는 네가 오늘 저녁을 먹었는지 궁금해."라고 간접적으로 물어보는 것입니다. 간접의문문이 직접의문문보다 더 부드럽고 공손한 느낌을 줄 수가 있어요. 그러면 이제 어떻게 간접의문문을 만들 수 있는지를 살펴볼게요. '나는 그녀를 모른다.'라는 한글 문장이 있어요. 이 문장의 목적어인 '그녀'자리에 '언제 그녀가.. 2023. 3. 20.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오늘은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먼저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개념만 이해해서는 제대로 안다고 할 수가 없어요. 예문을 통해서 접속사 that이 어떻게 쓰이는 지도 살펴볼게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의 개념 먼저 '명사절'이라는 말의 의미가 무엇일까요? '명사'는 문장에서 주어와 목적어 그리고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절'은 주어와 동사가 포함된 둘 이상의 단어가 문장의 일부를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이 둘을 합쳐서 정리하면 '명사절'이라는 말이 주어와 동사가 포함된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어요. 그러면 지금부터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2023. 3. 13. 구와 절 -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 및 등위절, 종속절 많은 영어 문법책이나 영어 관련 설명들을 보면 '명사구, 형용사구, 명사절, 부사절' 등의 용어를 많이 볼 수가 있지만 이 용어를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아요. 오늘은 '구(phrase)'와 '절(clause)'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하나하나 설명해 드릴게요. 구(phrase) '구(phrase)'는 두 가지 이상의 단어가 모여서 특정한 품사의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해요. 그리고 이 두 단어는 '주어와 동사'로 이루어져 있지 않아야 해요. 예를 들어서 'Look at the dog in the picture.'(사진 속의 개를 보세요.)라는 문장이 있어요. 이 문장에서 'in the picture'(사진 속에 있는)이 하나의 의미 덩어리로 같이 쓰여서 'the dog'를 꾸며주고 있어요. 즉 'in the.. 2023. 3. 10.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