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관계부사 - 개념, 구조, 전치사+관계대명사와 비교

by 이쉬영 2023. 4. 13.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계부사에 대해서 안내해 드릴게요. 관계부사는 관계대명사와 비교해서 봐야 해요. 둘 다 형용사절을 이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관계부사의 뒤에는 완전한 절이 온다는 점에서 관계대명사와 문장 구조의 차이가 있어요. 

관계부사의 개념 

관계부사는 '접속사+부사'의 역할을 해요.

예를 들어서 봐볼게요. 'This is the house. I was born in the house.'(이곳은 집이다. 나는 그 집에서 태어났다.)라는 두 문장이 있어요. 이 문장들을 접속사 'and'로 연결한다고 가정할게요. 그리고 'in the house'는 전치사구로 이 문장에서 부사의 역할을 하고 있어요.(전치사구는 형용사나 부사 역할을 할 수 있어요.) 관계부사는 이 접속사 'and'와 부사구인 'in the house'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요. 그래서 'This is the house where I was born.(이곳은 내가 태어난 집이다.)라는 한 문장으로 만들 수가 있어요. 

위 문장에서 'where I was born'(내가 태어난)은 형용사 역할을 해요. 그래서 선행사(앞에 있는 명사) 'the house'를 꾸며주는 역할을 해요. 

관계부사의 구조

관계부사가 들어간 'This is the house where I was born.'의 문장 구조를 봐볼게요. 형용사절인 'where I was born'에서 관계부사 'where' 뒤에는 완전한 절'I was born'이 와요. 그래서 관계부사가 들어간 문장은 선행사 + 관계부사 + 완전한 절'이 오는 형태가 돼요.

관계대명사가 있는 문장과 관계부사가 있는 문장을 비교해 볼게요.

● I know a man who lives alone.  선행사+관계대명사+불완전한 절(주어가 없어요.)

● I know the place where I enjoy fishing.  선행사+관계부사+완전한 절

위 두 문장의 공통점은 'who lives alone'과 'where I enjoy fishing'이 형용사절로 선행사 'a man'과 'the place'를 꾸며준다는 점입니다. 차이점은 관계대명사 뒤에는 불완전한 절이 오고 관계부사 뒤에는 완전한 절이 온다는 점이에요.

관계부사의 종류

선행사 관계부사
시간 when
장소 where
이유 why
방법 how

1. 선행사가 '시간'을 나타내면 관계부사는 'when'을 써요.

  • I remember the day when I met you.(난 당신을 만난 날을 기억한다.)

2. 선행사가 '장소'를 나타내면 관계부사는 'where'을 써요.

  • This is the city where it snows the most.(이곳은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도시이다.)

3. 선행사가 '이유'를 나타내면 관계부사는 'why'를 써요.

  • I'd like to know the reason why you're so late.(난 네가 왜 그렇게 늦는지 이유를 알고 싶어.)

4. 선행사가 '방법'을 나타내면 관계부사는 'how'를 써요. 주의할 점은 'the way'와 'how'는 같이 쓸 수가 없어요. 둘 중 하나는 생략을 해야 합니다.

  • I  will teach you how I make a pizza.(나는 네게 피자 만드는 방법을 알려줄 것이다.)

전치사 +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관계

관계부사는 전치사 + 관계대명사로 바꿔 쓸 수 있어요. 예문을 통해 살펴볼게요.

● This is the house. I was born in the house.

앞에서 보았던 문장이에요. 이번에는 관계대명사를 이용해서 한 문장으로 만들어 볼게요.

● This is the house which I was born in.

which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예요.(불완전한 문장으로 '전치사 in'의 목적어가 없어요.)

● This is  the house in which I was born.

여기서 목적어가 없는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앞으로 올 수 있어요.

이때의 문장 구조는 '선행사 + 전치사 + 관계대명사 + 완전한 절'이 돼요.

● This is the house where I was born.

선행사가 '시간, 장소, 이유, 방법'을 나타내는 경우 '전치사+관계대명사'를 '관계부사'로 바꿀 수 있어요.

따라서 '전치사+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는 뒤에 '완전한 절'이 와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