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의 비교

by 이쉬영 2023. 6. 5.

오늘은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을 비교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접속사 that은 뒤에 완전한 절이 오고 관계대명사 that은 불완전한 절이 옵니다. 이 둘은 헷갈리기가 쉬우니 예문을 보면서 비교를 많이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접속사 that, 완전한 절

접속사 that은 명사절을 이끌어요. 그래서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문장 속에서 주어, 목적어, 그리고 보어의 역할을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관계대명사 that과 구분 지을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바로 that의 뒤에 오는 절이 완전하다는 점입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헷갈릴 수도 있어요. 아래의 예문을 통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I knew that he really loved her.(저는 그가 그녀를 정말로 사랑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 예문에서 명사절인 'that he really loved her'은 동사 knew의 목적어로 사용되었어요. 그리고 접속사 that의 뒤를 보면 주어와 동사 그리고 목적어가 모두 있는 완전한 절입니다. 그리고 한글로는 '그가 그녀를 정말로 사랑했다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하는 것'이라는 해석을 통해서도 명사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어요.

관계대명사 that, 불완전한 절

관계대명사 that은 형용사절을 이끌어 줍니다.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죠? 그래서 관계대명사는 수식해 주는 명사가 있는데 영어에서는 형용사 역할을 하는 것이 두 단어 이상이면 명사의 뒤에 위치합니다. 관계대명사절도 2 단어 이상이기 때문에 수식해 주는 명사의 뒤에 위치하게 됩니다. 그래서 관계대명사 앞에는 선행하는 명사인 '선행사'가 위치하게 돼요. 그리고 관계대명사의 큰 특징은 관계대명사 뒤에 불완전한 절이 온다는 것입니다. 주어가 빠져있으면 '주격 관계대명사'이고 목적어가 빠져있으면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그러면 아래의 예문을 통해서 봐볼게요.

● The book that she is reading is fun.(그녀가 읽고 있는 그 책은 재미있다.)

위의 예문에서 'The book that she is reading' 부분을 볼게요. 우선 The book이 선행사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그 뒤에 '관계대명사 that'이 있어요. that 뒤에 있는 절을 보면 'she is reading'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 있습니다. 목적어가 없으니 목적격 관계대명사네요. 'that she is reading'이라는 긴 형용사 덩어리가 앞에 있는 the book이라는 명사를 수식하고 있으며 한글로는 '그녀가 읽고 있는'으로 해석합니다.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의 예문을 통한 비교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은 'that'이라는 공통점 때문에 혼동하기가 쉽고 시험문제로도 많이 출제가 됩니다. 그래서 예문을 통해서 많이 비교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I was surprised that she was absent from school.(나는 그녀가 결석했다는 것에 놀랐다.)

위 예문은 선행사가 없고 that 뒤에 완전한 절이 왔어요. 접속사 that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 He got into the car that was waiting for him.(그는 대기 중이던 차에 탔다.)

위 예문은 선행사 the car가 있고 that 뒤에 주어가 없는 절이 왔어요. 관계대명사 that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 Jason has a friend that plays the piano.(Jason은 피아노를 연주하는 친구가 한 명 있다.)

위 예문에서는 선행사 a friend가 있고 that 뒤에 주어가 없는 절이 있어요. 관계대명사 that입니다.

● Emily said that she was enjoying her work.(Emily는 그녀가 그녀의 일을 즐기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예문에서는 선행사가 없습니다. 그리고 that 뒤에 완전한 절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어요. 접속사 that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