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명사 분사(형용사나 부사도 가능)'는 주절과 동시에 일어나는 일을 나타내줘요. 한글로는 '~한 채로' 혹은 '~하면서'로 해석하고 명사와 분사의 관계가 능동인지 수동인지에 따라서 'with + 명사' 뒤에 'ing'나 'p.p'가 오는 것이 결정됩니다.
with 명사 현재분사(~ing)
with 뒤의 명사와 분사가 능동관계면 현재분사(~ing형태)를 사용할 수 있어요. 그래서 'with+명사+현재분사'로 나타냅니다. 무슨 말인지 예문을 보면서 살펴볼게요.
● He stood there with tears running down his face.(그는 얼굴에 눈물을 흘리면서 그곳에 서있었습니다.)
위의 예문을 보면 with 뒤에 있는 명사 'tears'와 분사 'running'의 관계가 능동이에요. 여기에서 'run'은 자동사예요. 자동사는 뒤에 목적어가 오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수동으로 나타낼 수가 없어요. 그래서 현재분사인 'running'을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또 다른 예문을 보면서 이해해 보겠습니다.
● He was walking along the street with his dog following him.(그는 그의 개가 그를 따라가는 채로 길을 따라 걷고 있었다.)
이 예문에서 with 뒤의 명사 'his dog'와 분사 'following'의 관계는 능동입니다. 그의 개가 그를 능동적으로 따라가는 상황이에요.
위에서 본 예문들처럼 명사와 분사의 관계가 능동이면 현재분사(~ing)를 이용합니다.
with 명사 과거분사(p.p)
with 다음에 오는 명사와 분사가 수동 관계이면 과거분사(p.p형태)를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with+명사+과거분사'의 형태로 나타냅니다. 예문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He sat on the bench with his arms crossed.(그는 팔짱을 낀 채로 그 벤치 위에 앉아 있었다.)
위의 예문에서 with 다음에 오는 명사인 'his arms'와 분사인 'crossed'는 수동 관계입니다. 팔이 무언가를 교차시키는 것이 아니고 교차가 된 것이에요. 그래서 p.p형태인 'crossed'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한 가지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 My friend worked quietly with the door closed.(내 친구는 문이 닫힌 채로 조용히 일했다.)
이 예문에서도 with 뒤에 명사 'the door'과 분사 'closed'는 수동관계입니다. 문이 능동적으로 무언가를 닫는 행동을 하지 않죠? 그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문은 수동적으로 닫힌 것입니다.
이 예문들처럼 명사와 분사의 관계가 수동이면 과거분사(p.p)를 이용합니다.
with 명사 형용사 혹은 부사(구)
'with+명사+분사'에서 분사 말고 일반 형용사나 부사(구)가 오기도 합니다. 예문을 통해서 살펴볼게요.
● John was asleep with his mouth open.(John은 그의 입을 벌린 채로 잠들어 있었다.)
위 예문에서 명사 'his mouth' 뒤에 오는 'open'은 동사인 '열다'로 많이 알고 있으실 거예요. 하지만 형용사 '열려 있는'이라는 뜻도 있으며 여기서도 형용사로 쓰였습니다.
오늘 내용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with 다음에 오는 명사와 분사의 관계가 능동이냐 수동이냐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능동이면 현재분사(~ing)를 쓰고 수동이면 과거분사(p.p)를 쓰는 것이죠 이러한 능동이나 수동관계를 이해하려면 관련된 예문을 많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3인칭 단수' 따로 정리하기 (0) | 2023.06.30 |
---|---|
many, much, a lot of, lots of - '많은' 정리 (0) | 2023.06.27 |
동명사와 현재분사 구분 및 비교 (0) | 2023.06.08 |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의 비교 (0) | 2023.06.05 |
few, a few 및 little, a little 차이점 알아보기 (0) | 2023.06.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