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5

비인칭주어 it에 대해서 알아보기 오늘은 비인칭주어 i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비인칭주어 it'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혼동하기 쉬운 '비인칭 주어 it'과 '대명사 it'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안내해 드리고 '비인칭주어 it'을 예문을 통해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비인칭주어 it은 무엇일까? '비인칭주어 it'은' 시간, 거리, 날씨, 온도, 요일, 계절, 명암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그럼 '비인칭주어 it'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What day is it?'(무슨 요일입니까?)라는 질문에 '금요일이에요.'라고 답변하고 싶어요. 'The day is Friday.'라고 답변하면 될 것 같은데 Friday(금요일)이라는 단어를 통해서 '금요일'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으니 굳이 주어 자리에 'The.. 2023. 9. 19.
부정 의문문에 헷갈리지 않고 대답하기 부정 의문문 자체는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것에 대답하는 방법을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합니다. 오늘은 부정 의문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것에 답하는 것이 헷갈리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또 부정 의문문에 쉽게 대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안내해 드릴게요. 부정 의문문이 무엇일까요? 일반 의문문은 'Do you like the music?'(너 그 음악 좋아하니?)처럼 상대방에게 질문해요. 반면에 부정 의문문은 'Don't you like the music?'(너 그 음악 안 좋아하니?)와 같이 질문합니다. 이렇게 부정어로 물어보는 의문문을 '부정 의문문'이라고 합니다. 부정 의문문에 대답하는 것이 헷갈리는 이유 한국어로 '너 그 영화 안 봤지?'라고 물어볼 때 여러분은 정말로 그 영화를 보지 않았어.. 2023. 9. 15.
가주어와 진주어 알아보기 오늘은 가주어와 진주어에 대해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가주어와 진주어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해 드리고 가주어, 진주어를 어떻게 만드는지 안내해 드릴게요. 그리고 진주어 자리에 오는 명사구나 명사절의 종류와 그 예문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할게요. 가주어와 진주어를 사용하는 이유 영어에서는 주어가 긴 문장구조(주어자리에 명사절이나 명사구가 오면 길어져요.)가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 구조는 아닙니다. 하지만 그리 선호하지는 않아요. 주어와 동사의 위치가 서로 멀어지고 문장에서 무슨 말을 하는지 파악하기도 힘들죠. 그래서 이런 구조보다는 가주어와 진주어를 사용해서 주어를 짧게 하는 문장을 더 선호합니다. 가주어와 진주어를 만드는 방법 가주어와 진주어는 어떻게 만들 수가 있을까요? 예를 들어 볼게요. 'To wat.. 2023. 9. 14.
부가의문문(tag question) 쉽게 이해하기 부가의문문(tag question)은 말 그대로 문장 뒤에 부가해서 붙여놓은 의문문을 의미합니다. 오늘은 부가의문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평서문과 명령문 및 청유문에서 각각 부가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부가의문문(tag question)이란? 우리가 무언가 궁금한 것이 생기면 '넌 저 신발 이쁘니?'와 같이 의문문으로 물어보면 됩니다. 하지만 '난 저 신발이 예뻐, 그렇지 않니?'와 같이 그냥 상대방의 의견이 궁금해서 묻는 경우 외에도 내 말을 상대에게 들려주면서 상대방의 동의를 원하는 경우도 있어요. 이번에는 다른 예를 들어볼게요. 집에서 외출을 하였는데 창문을 닫았는지가 기억이 나지 않아요. 아무래도 함께 나온 동생이 닫은 것 같아요. 그래서 동생에게 '너 집에서 나올 때.. 2023. 9. 8.
관계대명사 간단히 정리하기(주격, 목적격, 소유격) 관계대명사가 형용사절을 이끌면서 이 관계대명사 뒤에 '불완전한 구조의 절'이 오는데 그 구조에 따라 '주격 관계대명사'와 '목적격 관계대명사' 그리고 '소유격 관계대명사'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세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주격 관계대명사관계대명사가 있는 문장의 구조에서 '선행사+관계대명사+불완전한 구조의 절'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불완전한 구조의 절'에 주어가 빠져 있는 것을 '주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 Emma is the waman who save my life.(Emma는 내 인생을 구해준 여자이다.)● The dog that barks a lot is very cute.(많이 짖는 그 개는 아주 귀엽다.)● The history book w.. 2023. 9. 5.
'먹다'로 eat과 have의 차이 알아보기 '먹다'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로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보통 'eat'을 떠올릴 것입니다. 하지만 'I have dinner.'과 같이 'have'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면 이 'eat'과 'have'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먹다'를 표현할 때 eat과 have의 차이 'eat'은 '먹는 행위 자체'에 초점을 둘 때 씁니다. 그리고 '마시다'의 의미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I ate sandwich for lunch.'라는 문장에서 나는 점심으로 샌드위치를 입으로 먹는 장면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말 그대로 물리적으로 먹는 행위를 말하는 거예요. 'have'는 단순히 '먹는 행위'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즐기면서 하는 식사'로 사용합니다... 2023. 8. 28.
의문문에서 What과 Which 구분하기 'What food would you like to eat?'과 'Which food would you like to eat?'은 얼핏 보기에 별다른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이 두 문장에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의문문에서 'What'과 'Which'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hat과 Which의 차이점 앞에서 살펴본 예문을 한글로 해석해 보면 'What'이 있는 문장은 (무슨 음식을 먹고 싶으세요?)이고 'Which'가 있는 문장은 (어떤 음식을 먹고 싶으세요?)입니다. 이 둘은 큰 차이가 있지는 않지만 'What'은 좀 더 넓은 느낌입니다.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따로 없거나 선택할 수 있는 것이 굉장히 넓어서 막연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반면에 'Which'는 좀 더 좁은 느낌이에요. .. 2023. 8. 25.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알아보기 영어 의문문은 크게 의문사가 없는 경우와 의문사가 있는 경우로 나뉠 수가 있어요. 오늘은 각 의문사들의 종류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 및 의문사가 주어로 쓰인 경우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의문사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What Which Who, Whom Whose Where When Why How 무엇 어느 것 누구 누구의 어디에 언제 왜 어떻게, 얼마나 의문사가 있는 문장은 'Yes나 No'로 대답을 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Where are you from? (너는 어디 출신이니?)'라는 질문에 'Yes 혹은 No'로 대답하면 굉장히 어색합니다. 이 의문사가 물어보는 것에 대한 대답을 해야 합니다. 위의 경우에는 'I'm from Korea.'.. 2023.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