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하면 쉬운 영문법

so와 neither을 이용한 동의 표현 알아보기

by 이쉬영 2025. 3. 13.

상대방의 말에 동의를 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Me, too'를 떠올리기가 쉬울 것입니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so와 neither을 이용한 동의를 많이 사용합니다. 오늘은 so와 neither을 이용한 동의 표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o를 이용한 동의 표현(긍정)

대화 상대방이 긍정문으로 말하였을 경우 'so'를 이용하여 동의를 하면 됩니다. 

이때 'So + 동사 + 주어'의 형태를 이루어야 합니다.

* 대화 상대방이 말한 문장의 동사가 be동사면 be동사로, 일반동사면 do동사로, 조동사면 조동사로 동의해 주세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 I'm excited about the new movie. (나는 새 영화가 기대 돼.)

위 문장에 '나도 그래'라고 동의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1. 먼저 긍정문이면 so, 부정문이면 neither이 앞에 옵니다.

So ~

2. 동사가 be동사면 be동사, 일반동사면 do동사, 조동사면 조동사를 사용합니다. 여기에서는 I'm ~에서 be동사가 쓰인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So + be동사 ~

3. 동의하는 사람(주어)이 뒤에 옵니다. '나도 그래'라고 동의하려면 주어가 'I'(나)가 와야 합니다. 이때 동사자리는 주어에 맞추어 수일치를 하시면 됩니다. 여기에서는 주어가 'I'니까 be동사는 'am'이 오면 됩니다.

So am I

그래서 'So am I.'가 완성되었습니다.

 

다른 예문도 더 살펴보겠습니다.

● A: I'm very interested in history. (나는 역사에 매우 흥미 있어.)  /   B: So am I. (나도 그래.)

● A: She can speak three languages fluently. (그녀는 세 가지 언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어요.)  /  B: So can I. (저도 그래요.)

● A: They enjoy hiking on weekends.(그들은 주말에 하이킹을 즐겨요.)  /  B: So do I. (저도 그래요.)

● A: He was surprised by the results. (그는 결과에 놀랐어.)  /  B: So was she. (그녀도 그래.)

주어가 '나'가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내'가 동의하는 것이 아니라 '그녀'가 동의하는 경우여서 'she'가 뒤에 오고 'she'에 맞춰서 수일치를 하였습니다. 시제는 과거니까 'was'가 동사자리에 왔습니다.

● A: We have completed the project. (우리는 프로젝트를 완료했습니다.)  /  B: So have they. (그들도 그래요.)

현재완료(have p.p)에서는 have가 조동사의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동사자리에 'have'가 온 것입니다. have를 일반동사로 보고 'do'를 쓰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 A: She will attend the meeting tomorrow. (그녀는 내일 회의에 참석할 거예요.)  /  B: So will we. (우리도 그래요.)

neither을 이용한 동의 표현(부정)

대화 상대방이 부정문으로 말하였을 경우 'neither'을 이용하여 동의하면 됩니다.

형태는 'neither + 동사 + 주어'입니다.

또한 'so'와 마찬가지로 대화 상대방이 말한 문장의 동사가 be동사면 be동사, 조동사면 조동사, 일반동사면 do동사로 동의하면 됩니다.

* 동사자리에 not이 오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대화 상대방이 부정문으로 말하였고 '나도 안 그래'라고 말하려고 하면 당연히 동사자리에 not이 와야 할 것처럼 보이지만 'neither'이라는 단어 자체가 'not + either' 이어서 이미 not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 I can't play the piano. (나는 피아노를 칠 수 없어.)

이 문장에 '그녀도 할 수 없어.'라고 동의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1. 긍정문이면 so, 부정문이면 neither이 맨 앞에 옵니다. 이 문장은 부정문이니 neither이 오면 됩니다.

Neither ~

2. 동사가 be동사면 be동사, 조동사면 조동사, 일반동사면 do동사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 문장은 조동사 can이 쓰였으니 can이 오면 됩니다. 

Neither can ~

* 부정문을 동의하는 경우  can't로 쓰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Neither이 이미 not이 포함되어 있는 단어입니다.

3. 동의하는 사람(주어)이 뒤에 오면 됩니다. 여기에서는 '그녀도 할 수 없어.'라고 동의해야 하니 'she'가 오면 됩니다.

Neither can she.

이렇게 'Neither can she.'가 완성되었습니다.

 

다른 예문을 더 봐보겠습니다.

● A: He isn't going to the party. (그는 파티에 가지 않아요.)  /  B: Neither am I. (저도 가지 않아요.)

● A: They weren't happy with the results. (그들은 결과에 만족하지 않았다.)  /  B: Neither was he. (그도 그렇지 않았다.)

● A: She won't attend the meeting. (그녀는 회의에 참석하지 않을 것입니다.)  /  B: Neither will we. (우리도 참석하지 않을 것입니다.)

● A: I don't like broccoli. (나는 브로콜리를 좋아하지 않는다.)  /  B: Neither do I. (그도 마찬가지야.)

● A: He didn't finish his homework. (그는 그의 숙제를 끝내지 않았어요.)  /  B: Neither did they. (그들도 끝내지 못했어요.)

● A: We haven't seen the new movie yet. (우리는 아직 그 새 영화를 보지 않았다.)  /  B: Neither have our friends. (우리 친구들도 보지 않았다.)

댓글